[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R의 공포’ 과했나…안정 찾은 시장

입력 2024-09-10 08: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을 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일을 하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 마감

뉴욕증시가 9일(현지시간) 저가 반발 매수세에 반등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84.18포인트(1.20%) 오른 4만829.59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는 전장 대비 62.63포인트(1.16%) 오른 5471.0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3.77포인트(1.16%) 상승한 1만6884.60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지난주 큰 폭으로 하락했던 주식을 중심으로 재차 매수세가 유입됐다. 다우지수는 한때 상승 폭을 650포인트까지 키우기도 했다.

미국 경기 전망에 대한 불안감으로 지난주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지난주 각각 2.93%, 4.25% 내렸다. S&P500은 지난해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이후 최악의 주간 수익률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77% 급락하면서 2022년 이후 가장 나쁜 주간 실적을 보였다.

단기적으로 너무 떨어졌다는 판단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사라트 세티 DCLA 매니징 파트너는 “지난주 약간의 과매도로 인해 단기적으로 반등했다”며 “시장은 물가상승률이나 중·장기 경제 전망보다는 지금 현재 어떻게 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확실성이 커졌을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은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특히 올해는 수익률이 매우 컸기 때문에 더욱 그러할 수 있다”고 짚었다.

투매를 불렀던 미국 고용 지표에 대한 재평가도 이뤄졌다. 6일 발표된 8월 고용지표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실업률이 개선되는 등 호재와 악재가 엇갈린 내용이었다. 머피 앤 실베스트의 수석 자산 고문이자 시장 전략가인 폴 놀테는 “고용 상황이 아직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분석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가 소비 심리 회복과 경기를 떠받칠 것이라는 관측도 주가의 상승 요인이 됐다. 특히 이달 11일 나오는 소비자 물가지표가 연준의 9월 금리 인하에 더욱 정당성을 부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 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25bp 내릴 확률을 71%로 반영했다. 50bp 인하 확률은 29%로 나타났다.

국제유가

국제유가가 허리케인 상륙 소식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보다 1.04달러(1.54%) 오른 배럴당 68.71달러에 장을 마쳤다. 런던ICE거래소의 브렌트유 11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0.78달러(1.10%) 상승한 배럴당 71.84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미국 멕시코만 연안에 허리케인이 상륙해 석유 관련 시설 가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열대성 저기압이 멕시코만에서 세력을 키우며 북상하고 있다.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는 미국 북서부 걸프 해안에 상륙하기 이전에 허리케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지역이 미국 정유 생산능력의 60%를 담당하고 있는 만큼 해저 유전, 정유 시설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 유가가 상승했다.

존 에번스 PVM 분석가는 “미국 걸프 해안을 위협할 수 있는 허리케인 경보로 유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원유 수요를 어디에서 창출할지, 중동 산유국들이 무엇을 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유럽증시 마감

유럽증시는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6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6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4포인트(0.82%) 오른 510.70에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 DAX30지수는 141.66포인트(0.77%) 상승한 1만8443.56에,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89.37포인트(1.09%) 오른 8270.84에, 프랑스 파리증시 CAC40지수는 72.96포인트(0.99%) 상승한 7425.26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주 스톡스유럽600지수는 3.5% 하락하며 작년 3월 이후 최악의 한 주를 보냈다. 하지만 이날은 ECB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 초점이 모이며 증시가 방향을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시장에서는 ECB가 6월에 이어 12일 열리는 통화정책회의에서 추가로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가 올 연말까지 추가로 금리를 인하할 것인지 가늠할 수 있는 단서를 줄지도 주목된다.

뉴욕금값 마감

국제 금값이 소폭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8.10달러(0.32%) 오른 온스당 2532.7달러에 마감했다. 전 거래일에는 0.72% 하락했으나 1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미국 기준금리 향배를 가늠해줄 물가 발표를 기다리며 변동폭은 제한됐다. 이번주 11일에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2일에는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공개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9~20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내릴 가능성은 73%, 0.50%p 하향할 가능성은 27%로 집계됐다.

금리가 낮아지면 이자 수익도 배당금도 지급하지 않는 금 보유에 따른 기회비용이 줄게 돼 금값에 유리하다.

가상자산

주요 가상자산 가격은 상승했다.

미국 가상자산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10일 오전 8시 25분 현재 24시간 전보다 4.80% 급등한 5만7236.6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가격은 2.95% 오른 2363.20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바이낸스코인은 3.40% 상승한 519.82달러에, 리플은 2.08% 뛴 0.54048737달러에 거래됐다.

뉴욕 외환시장

미 달러화는 미국 기준금리 빅컷 기대가 축소됨에 따라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7% 오른 101.55로 집계됐다.

엔ㆍ달러 환율은 이날 0.3% 상승한 142.75엔으로 집계, 6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지난주에 2.7% 하락했으나 엔화와 비교한 달러화 가치가 회복한 것이다. 달러 대비 유로의 가치는 0.4% 절하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예인 불법도박’ 명단에 추가된 이진호…빚 원금만 23억 ‘충격’ [해시태그]
  • "정년 지나도 일하고 싶다"…이유는 [데이터클립]
  • [인터뷰] 유발 하라리 "AI는 주체적 행위자, 인류가 위협받고 있다"
  • “일반 아파트 월세가 500만 원?”…서울 아파트 월세시장 펄펄 끓는다
  • ‘국내 1호 수직증축 리모델링 단지’ 잠실더샵루벤…"도심 공급 촉진 기대"[르포]
  • 뉴진스 하니 "민희진 vs 방시혁 갈등 알지만…일에도 영향 줘야 하나" [2024 국감]
  • 노벨경제학상 로빈슨 “한국의 포용적 제도가 경제 성공 배경”
  • 통일부 “北 1810억원 들인 남북연결도로 폭파, 강력 규탄...남북합의 위반”
  • 오늘의 상승종목

  • 10.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650,000
    • +1.51%
    • 이더리움
    • 3,505,000
    • +2.55%
    • 비트코인 캐시
    • 489,200
    • +10.18%
    • 리플
    • 728
    • +0.28%
    • 솔라나
    • 207,100
    • +0.49%
    • 에이다
    • 483
    • +0.84%
    • 이오스
    • 655
    • +0.77%
    • 트론
    • 215
    • -0.46%
    • 스텔라루멘
    • 126
    • +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850
    • +5.19%
    • 체인링크
    • 15,530
    • +4.65%
    • 샌드박스
    • 363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