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취약계층 통신요금 감면 신청하세요”

입력 2023-03-30 12: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 등 통신요금 감면제도 안내 강화
이동전화 월 최대 3만5000원·초고속 인터넷은 30% 할인
고지서·SMS 등 통해 순차적 안내…전화·온라인 신청 가능

▲통신요금 감면기준 표.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요금 감면기준 표.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애인과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통신요금 감면제도 안내가 강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건복지부와 이통3사 협조를 받아 취약계층 대상 통신요금 감면제도를 요금고지서・SMS 등을 통해 안내한다고 30일 밝혔다.

통신요금 감면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이동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통신서비스 전반에 요금감면을 시행하는 제도다. 이동전화의 경우 월 최대 3만3500원을, 초고속 인터넷은 월 이용료 30% 감면해준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15일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 후속으로 통신요금 감면혜택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하기로 한 바 있다. 또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통신시장 경쟁촉진 방안 TF’1차 회의에서 “통신요금 감면대상 중 270만여명이 감면신청을 하지 않아 혜택을 못보고 있어 통신요금 안내와 홍보를 강화해 이들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통3사의 요금고지서(5551만 건) 및 홈페이지(앱 포함)의 공지사항 등을 통해 통신요금 감면제도를 안내하고 있다. 오는 31일부터는 감면신청을 하지 않은 장애인・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복지부 협조), 기초연금수급대상자(이통3사 협조, 65세 이상 SMS 동의자) 대상으로 SMS를 순차적으로 발송할 예정이다 .

취약계층 대상자의 요금감면 신청은 이통3사 전용 ARS ‘1523’ 및 이동통신사(SKT, KT, LGU+) 고객센터 114에서 전화로 가능하다. 온라인에서는 정부24 및 복지로 사이트에서 가능하며, 통신사 대리점이나 주민센터로도 신청이 가능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계기로 디지털 취약계층이 통신요금 감면 등 보편적 혜택을 마땅히 누리도록 대상자 안내를 지속 실시하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복지혜택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546,000
    • +4.19%
    • 이더리움
    • 2,990,000
    • +6.63%
    • 비트코인 캐시
    • 505,500
    • +3.23%
    • 리플
    • 3,685
    • +11.16%
    • 솔라나
    • 195,800
    • +7.11%
    • 에이다
    • 1,074
    • +5.5%
    • 이오스
    • 842
    • +12.27%
    • 트론
    • 337
    • -2.03%
    • 스텔라루멘
    • 421
    • +6.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50
    • +4.81%
    • 체인링크
    • 21,720
    • +8.49%
    • 샌드박스
    • 439
    • +6.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