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 아닌 ‘정류소’ 탑승하는 승차권…대법 “버스회사, 직접판매 가능”

입력 2023-02-08 11: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버스터미널이 아닌 정류소에서 탑승하는 버스 승차권은 터미널 운영사를 거치지 않고 버스 운수회사가 직접 판매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 서울 서초동 대법원 전경. (뉴시스)
▲ 서울 서초동 대법원 전경. (뉴시스)

대법원 2부(주심 천대엽 대법관)는 버스터미널을 운영하는 A 사가 버스 운수회사 B 사를 상대로 낸 승차권 위탁 판매 수수료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법원에 따르면 대전에서 버스터미널을 운영하는 A 사는 자사의 터미널을 이용하는 B 사가 버스 정류소에서 승차권을 직접 판매해 여객자동차법상 위탁 의무를 위반했다며 2017년 6억여 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은 ‘터미널 사용자(버스 운수회사)는 터미널 사업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해야 한다. 다만 여객의 편의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직접 판매하거나 터미널 사업자 아닌 자에게 판매를 위탁할 수 있다’고 정한다.

대법원은 1‧2심과 마찬가지로 이 같은 여객자동차법 조항에 따른 위탁 의무는 ‘터미널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에만 한정될 뿐 다른 곳에서의 승차권은 위탁 의무가 없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여객자동차법 조항의 본문은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의 주체를 ‘터미널을 사용하는 운송사업자’로 한정할 뿐 모든 운송사업자에게 의무를 부과하지 않았다”며 “터미널을 기점으로 삼지 않는 시외버스 노선도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조항의 본문에 따른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는 운송 사업자가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 그 이용과 관련 있는 승차권 판매를 터미널 사업자에게 위탁해야 한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덧붙였다.

박일경 기자 ekpark@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입구직자 희망 초봉은 ‘평균 3944만원’
  • 독도는 일본 땅?…日 억지 주장, 언제부터 시작됐나
  • '디즈니'도 손절?…AI에 밀린 메타버스 운명은
  • ‘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씹던 껌, 경매로 나왔다…가격은
  • 한덕수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 요구, 대통령께 공식 건의"
  • 원전 르네상스 도래…신한울 3, 4호기 2.9조 원 계약·해외 기자재 5조 원 목표
  • 동서울터미널에 스타필드 들어설까?···서울시, TF 구성하고 개발 속도전
  • 박동원에 ‘FA 뒷돈 요구 논란’…기아 타이거즈, 장정석 단장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345,000
    • +5.14%
    • 이더리움
    • 2,378,000
    • +3.62%
    • 비트코인 캐시
    • 163,600
    • +3.22%
    • 리플
    • 723.6
    • +9.11%
    • 솔라나
    • 27,870
    • +4.62%
    • 에이다
    • 506.4
    • +7.61%
    • 이오스
    • 1,512
    • +4.13%
    • 트론
    • 85
    • +0.19%
    • 스텔라루멘
    • 134
    • +6.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470
    • +3.26%
    • 체인링크
    • 9,670
    • +7.5%
    • 샌드박스
    • 840.9
    • +5.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