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대국’ 중국, 지난해 61년만에 인구 첫 감소세...1년새 85만명↓

입력 2023-01-17 16: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사망자 수, 출생 인구 앞지르면서 인구 감소
올해 인구 대국 지위 인도에 내줄 가능성
코로나19 확산도 변수
인구 감소, 경제 성장에 영향줄 수 있어

▲7일 중국 선전 기차역에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선전(중국)/신화뉴시스
▲7일 중국 선전 기차역에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선전(중국)/신화뉴시스

중국 인구가 61년 만에 처음 감소세를 기록했다.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자국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억1175만 명으로, 2021년 말(14억1260만 명)보다 85만 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이 기간 연간 출생 인구가 956만 명으로 사망자(1041만 명) 수보다 더 적었던 영향이다.

중국의 인구 감소는 마오쩌둥이 펼친 대약진 운동으로 대기근이 강타한 1960년 1000만 명, 1961년 348만 명이 줄어든 이래 61년 만에 처음이다.

중국 인구는 지난 2021년 48만 명 늘어나는데 그치는 이미 증가 둔화를 겪어왔다. 블룸버그통신은 "인구 감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출산 장려를 했지만, 지난해 중국의 출생 인구는 최소한 195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신생아(검은색) 수와 사망자 수(노란색) 추이. 블룸버그
▲중국 신생아(검은색) 수와 사망자 수(노란색) 추이. 블룸버그

연령별 비중은 16∼59세 노동연령인구가 8억7556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62.0%를 차지했으며 60세 이상 인구가 2억8004만 명으로 19.8%, 65세 이상 인구가 2억978만 명으로 14.9%를 각각 차지했다. 성별 기준으로는 남성이 7억2206만 명, 여성이 6억8969만 명으로 집계됐다.

인구 감소의 배경 중 출산율 감소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여성들의 결혼과 임신이 늦어지면서 가임 여성의 출산이 줄어들었기 떄문이다. 실제로 중국의 출생률(인구 1000명당 신생아 수)은 지난해 6.77명으로 70년 전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낮았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한국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 이웃 국가들의 발자취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출산율이 급감하게 되면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전개되면서 경제 발전이 둔화하게 된다고 지적한다. 특히 중국 경제를 지탱하는 주택과 같은 부동산 수요를 둔화시켜 중국 경제 성장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당연히 경제적 측면에서 미국을 추월하려는 시진핑의 야심에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중국의 인구 감소세는 예상보다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UN은 지난 2019년까지만 해도 중국 인구가 계속 증가해 2031년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했으나, 지난해 이 전망치를 2022년 초로 크게 앞당겼다. 이대로라면 당장 올해 중국은 인도에 전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지위를 내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역시 인구 측면에서 변수로 꼽힌다.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 후 중국에서는 12월 초부터 1개월간 코로나19으로 인한 사망자가 약 6만 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사망자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캉이 중국 국가통계국 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구 감소에 대한 우려에 "과도하게 우려할 사항은 아니다"면서 "국가적 노동력 공급이 여전히 수요보다 많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인 ‘5.5% 안팎’은 크게 밑도는 수치로, 1976년 문화대혁명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이 강타했던 2020년(2.2%)에 이어 46년 만에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40,000
    • -3.54%
    • 이더리움
    • 4,551,000
    • -2.86%
    • 비트코인 캐시
    • 692,000
    • -5.4%
    • 리플
    • 759
    • -3.92%
    • 솔라나
    • 212,500
    • -6.59%
    • 에이다
    • 686
    • -6.03%
    • 이오스
    • 1,256
    • +1.37%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65
    • -5.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150
    • -6.41%
    • 체인링크
    • 21,170
    • -4.77%
    • 샌드박스
    • 665
    • -8.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