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산학연 협의체 참여…생분해 소재 산업 활성화 속도

입력 2022-11-30 09: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기부 주관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 플라스틱 미래테크 포럼’ 참여

▲CJ제일제당은 생분해 소재 관련 산학연 협의체인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 플라스틱 미래테크 포럼'에 참여한다. 관계자들이 포럼 출범식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생분해 소재 관련 산학연 협의체인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 플라스틱 미래테크 포럼'에 참여한다. 관계자들이 포럼 출범식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생분해 소재 관련 산학연 협의체인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 플라스틱 미래테크 포럼(과기부·특구재단 주관)’에 참여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친환경 해양 생분해 소재 PHA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및 실증 실험을 확대해 다양한 제품 개발을 진행할 방침이다.

2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포럼 출범식에는 CJ제일제당 외에도 SKC, HDC현대EP, BGF에코바이오 등 국내기업뿐 아니라 네이처웍스 등 해외 바이오 소재 기업도 참여했다.

참여 기업들은 미래 혁신기술을 선점하고자 △과기부 산하 기술핵심기관 및 실증특례제도를 활용한 생분해 소재 기술 검증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개발(R&D) 및 실증 사업 지원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기업들이 규제 특례 구역 안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설에 생분해 소재를 투입, 실제 퇴비화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존에는 플라스틱 분리배출 및 재활용 체계상 생분해 소재의 퇴비화 검증이 어려웠다.

과기부 산하 기관 등을 통해 기업들이 생분해 소재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에너지화하는 실험도 가능해졌다. 단순히 소재 분해에 그치지 않고 또 다른 부가가치를 만드는 성과도 기대된다.

협의체는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토대로 생분해 소재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선에 나선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올해 유한킴벌리를 비롯해 호텔 체인 아코르, 메이크업 브랜드 바닐라코 등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생분해 소재 확대에 나서고 있다”며 “가치 소비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 생활 속 생분해 소재의 사용 범위를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신입구직자 희망 초봉은 ‘평균 3944만원’
  • 독도는 일본 땅?…日 억지 주장, 언제부터 시작됐나
  • '디즈니'도 손절?…AI에 밀린 메타버스 운명은
  • ‘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씹던 껌, 경매로 나왔다…가격은
  • 한덕수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의 요구, 대통령께 공식 건의"
  • 원전 르네상스 도래…신한울 3, 4호기 2.9조 원 계약·해외 기자재 5조 원 목표
  • 동서울터미널에 스타필드 들어설까?···서울시, TF 구성하고 개발 속도전
  • 박동원에 ‘FA 뒷돈 요구 논란’…기아 타이거즈, 장정석 단장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342,000
    • +5.03%
    • 이더리움
    • 2,380,000
    • +3.43%
    • 비트코인 캐시
    • 163,600
    • +3.61%
    • 리플
    • 726.9
    • +8.43%
    • 솔라나
    • 27,880
    • +4.81%
    • 에이다
    • 511.6
    • +8.21%
    • 이오스
    • 1,513
    • +4.13%
    • 트론
    • 85.02
    • +0.54%
    • 스텔라루멘
    • 134.6
    • +6.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650
    • +3.12%
    • 체인링크
    • 9,710
    • +8.13%
    • 샌드박스
    • 844.2
    • +5.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