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주담대 8%대 불가피… 영끌족 어쩌나

입력 2022-10-12 15: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현호 기자 hyunho@)
(조현호 기자 hyunho@)

한국은행이 12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p) 인상한 3.00%로 결정했다. 역대 두 번째 빅스텝(기준금리 0.50%p 인상) 여파로 대출금리 인상도 불가피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연내 8%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현재 4대 시중은행(신한·하나·우리·KB국민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혼합형)는 연 4.36~7.10%로 집계됐다. 주담대 금리 상단은 지난달 말 약 13년 만에 연 7%를 돌파했다. 이날 빅스텝 여파와 다음 달 기준금리가 추가 인상되면 주담대 금리 상단은 연 8%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도 오를 가능성이 커지면서 주담대 변동금도 연 7% 돌파가 유력하다. 현재 4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4.71~6.85%다. 이번 빅스텝에 따른 금리 상승폭만 적용해도 주담대 변동금리 상단은 연 7%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기준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 연 4.0%의 주담대 상품으로 3억 원을 빌린 사람이 부담해야 했던 월 이자는 100만 원 수준이다. 원금까지 더해도 월 부담해야 할 원리금은 143만2246원(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이다.

하지만 최근 연 7%대로 오른 주담대 금리를 적용하면 월 이자만 175만 원에 달한다. 만일 연내 주담대 금리가 연 8%까지 오르면 월 이자만 200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 원금까지 더하면 월 부담해야 하는 원리금이 220만1294원(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에 달한다. 웬만한 직장인 한 달 월급으로 이 정도의 원리금을 내고 생활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주담대를 통해 '내 집 마련'을 한 2030세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이 많아 이들의 이자 부담이 늘면서 부실차주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이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기준금리 50bp(0.50%포인트, 1bp=0.01%포인트) 인상으로 가계와 기업을 합해 이자 부담은 12조2000억 원 정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면서 은행이 부담해야 할 자금 조달 비용도 늘어난 상황"이라며 "대출금리도 당분간 우상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준원, 성착취물 혐의에 "미성년자인 줄 몰랐다" 눈물…롯데 즉각 방출
  • '테라·루나 사태' 주범 권도형 추정 인물, 몬테네그로서 체포
  • 전장연, 시청역서 1박 2일 철야농성…오늘도 1·2호선 시위 예정
  • ‘IWC’ 차는 김정은, ‘디올’ 입는 김정은 딸…북한서도 명품 살 수 있나요
  • 중국도 경악한 ‘최악 황사’ 온다…“어떤 마스크 써야 하지?”
  • 올해는 마스크 벗고 즐겨요!…전국 벚꽃 축제 10선
  • 피겨왕자 차준환 세계선수권 쇼트 3위…25일 프리스케이팅 연기로 첫 메달 도전
  • 오창석-이채은, 13살차 극복한 열애…4년만에 종지부 '결별' 인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3.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284,000
    • +2.59%
    • 이더리움
    • 2,393,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170,200
    • +1.19%
    • 리플
    • 585.7
    • +4%
    • 솔라나
    • 29,260
    • +2.34%
    • 에이다
    • 489.7
    • +2.11%
    • 이오스
    • 1,529
    • +4.87%
    • 트론
    • 85.9
    • +7.47%
    • 스텔라루멘
    • 121.9
    • +0.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990
    • +3.14%
    • 체인링크
    • 10,060
    • +5.62%
    • 샌드박스
    • 872.5
    • +2.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