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 꼬인 매듭 풀어라” 외교 해법 찾기 총력전…‘강대강’ 대치는 여전

입력 2022-02-21 16: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크롱·푸틴, 외교적 해법 필요성에 동의”
군사적 긴장 상태는 지속
러시아, 벨라루스와 연합 군사훈련 무기한 연장
“전면전 또는 산발적 공격 등 푸틴 선택만 남아”

▲친러시아 반군이 통제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의 한 주택이 20일(현지시간) 포격으로 파손돼 있다. 도네츠크/AP연합뉴스
▲친러시아 반군이 통제하는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의 한 주택이 20일(현지시간) 포격으로 파손돼 있다. 도네츠크/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카드를 아직 버리지 않았지만, 물 밑에서 관련국들의 대화 노력은 이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의 꼬인 매듭을 풀기 위한 외교 총력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여전히 서방과 러시아의 ‘강대강’ 대치는 이어지고 있다.

20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주도하고 있다. 프랑스 엘리제궁은 성명을 내고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105분간 전화통화를 하고 두 정상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외교적 해법을 찾아야 할 필요성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프랑스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주선하기도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미·러) 정상회담 이후에는 유럽의 안보와 전략적 안정을 논의하기 위해 이해 당사국이 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오는 24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긴급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미국과 러시아의 정상회담이 실제로 성사될지는 미지수다. 푸틴 대통령이 프랑스에 외교적 유화 제스처를 보인 것과 달리 이날 우크라이나 북쪽 벨라루스에서 벌여온 군사훈련을 기한 없이 전격 연장했기 때문이다.

벨라루스는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교전 상황을 이유로 러시아와의 연합 군사훈련을 무기한 연장하기로 해, 훈련에 참여한 3만 명 러시아군이 자국에 계속 머물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두 나라의 연합 훈련은 지난 10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는 그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의도를 숨긴 채 연합훈련을 구실로 자국 병력을 벨라루스에 배치한 것으로 의심해 왔는데, 이번 훈련 연장 결정으로 이를 더욱 확신하는 분위기다. 벨라루스 국경에서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까지 거리는 약 90㎞ 정도다.

러시아의 침공 임박설을 뒷받침하듯 관련 보도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CNN은 러시아군 주력 전투부대의 75%가 우크라이나를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미 정보당국이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와 함께 하리코프, 오데사, 헤르손 등 주요 도시 다수를 함께 표적으로 삼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상업위성 업체 맥사(Maxar)는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우크라이나 접경에 배치된 러시아군이 최근 주둔지를 이동하며 소규모로 나눠 배치되는 등 전열이 바뀌는 장면이 목격됐다고 밝혔다. 이에 러시아가 더욱 본격적인 전쟁 태세를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국경 주변에 배치된 러시아군은 최대 19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황이 긴급해지자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보회의(NSC) 회의를 소집하고, 개인 일정이었던 델라웨어주 방문도 전격 취소하고 백악관에 머물렀다.

다만 러시아는 여전히 우크라이나 침공 임박설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부인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전면전에 나설지 또는 소규모의 산발적 공격을 통해 우크라이나와 동맹들의 균열을 시도할지 푸틴의 선택만이 남았다”며 “그에 따른 세계의 반응은 극명하게 갈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3: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41,000
    • -0.67%
    • 이더리움
    • 5,017,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551,500
    • -1.61%
    • 리플
    • 696
    • -0.29%
    • 솔라나
    • 188,500
    • -4.94%
    • 에이다
    • 549
    • -1.26%
    • 이오스
    • 816
    • +1.24%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33
    • +0.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00
    • -0.72%
    • 체인링크
    • 20,360
    • +0.84%
    • 샌드박스
    • 462
    • +1.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