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김포공항 신도시 기반 1000조 가상자산"…이재명 공약화 임박

입력 2021-12-05 15: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포공항 스마트시티 '원작자' 박용진 "추가 개념 들어가 확장된다"
1000조 부동산 코인 구상서 등장…"마곡 기준 용적률 500% 산정"
이낙연계ㆍ김포 의원들은 부정적…"서울 동부권 불만으로 표심 악영향"

▲김포공항 전경 (고이란 기자 photoeran@ )
▲김포공항 전경 (고이란 기자 photoeran@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언급한 ‘대규모 주택 공급’의 부지가 김포공항 이전부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 이 후보 측은 이를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발급까지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포공항 이전부지 주택 공급은 애초 박용진 의원이 대선후보 경선 때 처음 제안한 터라 이 후보 공약화 안도 공유되고 있다. 박 의원은 통화에서 “이 후보가 공약으로 검토하는 안은 거기에서 추가 개념이 들어가 확장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언급한 ‘추가개념’은 가상자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에 가상자산 자문을 하는 한 전문가가 제안해 이재명 선대위가 검토 중인 부동산 개발이익 기반 1000조 원 가상자산 구상은 김포공항 이전부지를 상정해 계산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문가는 통화에서 “1000조 원 코인은 김포공항이 이전한 부지에 마곡지구 분양가를 기준으로 용적률 500%를 적용했다고 가정해 산정한 개발이익 금액”이라며 “민주당이 집권 후에 여러 곳에 신도시 개발을 할 계획이 있는데 그중 한 곳”이라고 말했다.

해당 구상은 부동산 개발에 일반 국민의 투자를 받고 국민주와 유사하게 가상자산을 발급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개발이익 추산 1000조 원 규모 독자 가상자산을 만들면 1600조 원과 700조 원 규모인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가상자산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메타버스상 디지털기축통화 경쟁에 나서는 것이 목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포공항 이전과 부동산 기반 가상자산 모두 당내 반발에 부딪힐 공산이 크다. 먼저 김포공항 이전은 경선 때 서울공항 이전을 주장한 이낙연 전 대표 측 의원들과 김포 지역구 의원들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낙연계 한 의원은 “김포공항이 사라지면 우리 당에 대체로 우호적인 서울 동부권 사람들이 항공 이용을 위한 이동 거리가 멀어져 불만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 김포 지역구인 한 의원은 “수도권 집중 문제가 불거지는데 서울 인근에 대규모 주택을 짓는 건 균형발전에 역행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격과 방수에 강하다”…갤럭시 NEW 러기드폰, 국내서 살 수 있을까
  • 민족 대명절 ‘한가위’…우리 동네 쓰레기 배출일 언제일까
  • "이거 쓸만하네" TV 대용으로 손색없는 '삼탠바이미' [써보니]
  • 디에이치·오티에르…선택받은 소수만 허용되는 아파트 '하이엔드 브랜드'
  • 추석 선물 현금 대신 '효도보험' 어떠세요
  • 챗GPT에 물었다…추석 끝내주게 잘 보내는 방법
  • 한국 야구, '4연패' 도전 불씨 살렸다…태국에 17-0 콜드게임승
  • 임영웅, “대학 얘기, 결혼 얘기 금지”…센스 있는 추석 인사에 폭소
  • 오늘의 상승종목

  • 10.04 12:1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322,000
    • -0.94%
    • 이더리움
    • 2,235,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311,000
    • -8.77%
    • 리플
    • 728.8
    • +3.83%
    • 솔라나
    • 31,620
    • -1.8%
    • 에이다
    • 349.3
    • -2.59%
    • 이오스
    • 784.2
    • -5.37%
    • 트론
    • 121
    • +0.41%
    • 스텔라루멘
    • 155.7
    • +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00
    • -10.68%
    • 체인링크
    • 10,220
    • -0.87%
    • 샌드박스
    • 401.4
    • -4.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