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준금리 동결과 부동산 우려에 약세

일본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03포인트(0.14%) 상승한 2만9255.55에, 토픽스지수는 1.10포인트(0.05%) 상승한 2027.67에 마감했다.
중국증시 상하이종합지수는 6.15포인트(0.17%) 하락한 3587.0에, 홍콩증시 항셍지수는 348.81포인트(1.35%) 상승한 2만6136.02에 거래를 마쳤다. 대만 가권지수는 12.85포인트(0.08%) 하락한 1만6887.82를 기록했다.
오후 5시 18분 현재 싱가포르 ST지수는 0.39포인트(0.01%) 상승한 3199.40에, 인도 센섹스지수는 354.77포인트(0.57%) 하락한 6만1361.28에 거래되고 있다.
닛케이225지수는 지난달 말 이후 약 3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뉴욕증시가 상승한 데 이어 외환시장에서 한때 달러당 엔화가 114엔대 후반까지 기록하는 등 강달러 영향이 있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설명했다.
관련 뉴스
장중 한때 상승 폭이 200포인트를 웃돌며 심리적 기준선인 2만9500선에 근접하기도 했지만, 이익 확정 매도가 나오면서 제한됐다. 섹터 가운데는 경기 재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철도와 항공 등 운수 업종이 힘을 받았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연일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전날 약 3주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하루 만에 반락했다.
장 초반 인민은행의 기준금리 발표를 앞두고 당국이 단기금융시장에 유동성을 확대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했지만, 별다른 변동 사항이 없자 하락 전환했다. 이날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성격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1년 만기는 3.85%, 5년 만기는 4.65%로, 지난해 4월 이후 18개월째 같은 금리다. 최근 경기가 둔화하는 상황에서도 통화정책은 신중하게 펼치는 모습이다.
헝다그룹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우려는 여전히 시장의 불안 요소다. 헝다는 공식 디폴트(채무불이행) 기준선인 30일 유예기간이 이번 주 만료된다. 다른 부동산 개발업체인 시닉홀딩스는 이틀 전 만기 2억4600만 달러(약 2897억 원) 채권을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판타시아홀딩스도 이미 디폴트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