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 떨어지는 환절기, 잇몸 건강도 주의해야

입력 2020-09-25 14: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곽진원 미소원치과 대표원장
▲사진=곽진원 미소원치과 대표원장

면역력은 감염이나 질병으로부터 대항하여 병원균을 무력화시키고 해로운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는 작용을 한다. 때문에 면역력이 약해지면 세균의 침입에 취약해져 각종 질환에 걸리기 쉬워지기에 신체의 면역력 강화에 힘써야 한다.

하지만 가을로 접어드는 환절기가 시작되면 기온이 낮아지고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면역력이 감소되어 각종 질환이 발생하기 쉬워지는데, 그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치주질환이다.

치주질환은 잇몸에 출혈과 염증을 일으키고, 오랜 기간 방치할 경우 치아를 지탱해 주는 치조골을 파괴하여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또한, 세균들이 침에 섞여 기도로 넘어가면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며 기도를 지나 폐까지 침투하게 되면 폐에 염증이 생겨 폐렴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처럼 치주질환은 구강 건강은 물론, 신체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구강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특히, 환절기에는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힘이 약해지고, 구강 내부도 건조해져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형성되니 더더욱 구강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한다.

만약 치주질환이 발생했다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치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주질환 1기의 경우 올바른 칫솔질이나 스케일링과 같은 간단한 치료로 회복할 수 있지만 치주질환이 심해지면 잇몸을 절개한 후 치석을 제거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도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조골이 파괴되어 치아가 흔들리게 되고, 치주 농양이 발생되기 하며 염증이 인접 치아에 퍼질 수 있기에 발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곽진원 미소원치과 대표원장은 “환절기가 시작되면 치주질환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더군다나 요즘은 코로나19 때문에 마스크를 장기간 착용하면서 구강 내 유해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형성되어 더더욱 각종 구강질환이 발생하기 쉬워졌다. 이러한 시기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구강 면역력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올바른 양치질과 구강 보조 청결제 등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과 같은 예방치료를 받아 구강 내부에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구강 질환을 예방하려는 방법”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75,000
    • +0.42%
    • 이더리움
    • 5,315,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642,000
    • -0.7%
    • 리플
    • 720
    • -1.1%
    • 솔라나
    • 228,900
    • -1.97%
    • 에이다
    • 627
    • -0.48%
    • 이오스
    • 1,121
    • -1.06%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58%
    • 체인링크
    • 25,450
    • -1.66%
    • 샌드박스
    • 614
    • +0.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