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이트댄스, 틱톡 매각 시한 놓칠 가능성 커져…트럼프 “기한 연장 없어”

입력 2020-09-11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새 규제로 인해 매각 협상 한층 복잡해져…중국, 철저한 심사 진행할 듯

▲동영상 공유 앱 ‘틱톡’ 매각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첨단기술 수출 제재를 강화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동영상 공유 앱 ‘틱톡’ 매각 협상이 진행 중인 가운데 중국이 첨단기술 수출 제재를 강화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동영상 공유 소셜미디어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이 미국 측이 정한 기한을 넘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새로운 규제로 인해 매각 협상이 한층 복잡해진 탓이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규제 검토 때문에 거래 상대방과의 합의를 확정 짓는 데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정한 기한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0일을 틱톡 매각 협상의 마감 시한으로 설정하면서, 틱톡이 이때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운영이 중단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가뜩이나 미국 정부가 정한 데드라인 내에 매각 협상을 마무리 짓기에도 갈 길이 바쁜 가운데, 중국 정부가 거꾸로 이에 제동을 거는 조처에 나서면서 상황은 한층 더 복잡해졌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말 음성 인식, 빅데이터 수집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당국의 허가 없이 수출할 수 없는 규제 목록에 추가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를 틱톡 미국 사업 매각을 겨냥한 규제 조치로 풀이하고 있다.

전면적인 미·중 갈등 국면 속에서 틱톡의 매각 문제가 갖는 민감한 성격 때문에 바이트댄스가 수출 허가를 요청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해둔 기한 내에 허가 결정이 나올 가능성은 지극히 낮아 보인다.

중국 당국자와의 예비 협의에서는 바이트댄스가 모든 인수 제안에 대해 기술적 및 금전적 측면에서 상세한 정보를 제출하고 승인을 구해야 하며, 심사가 철저히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당국자들은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어떠한 거래인지에 대해 상세한 얘기를 꺼린다고 한다.

그렇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과 관련해 기한 연장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미시간주로 떠나기에 앞서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시한 연장은 없다”며 “틱톡은 폐쇄되거나 매각될 것”이라고 못 박았다.

원래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20일까지 매각 협상을 타결하지 못하면 틱톡과 미국 기업, 시민의 모든 거래가 금지된다. 그러나 트럼프는 15일까지 매각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마이크로소프트(MS)-월마트 컨소시엄이나 오라클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오라클은 모두 중국의 새로운 규제가 도입되기 이전에 인수안을 제시했다. 양측 모두 계속해서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측의 개입에도 이를 단념하려는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간 때문이야”…국민 간장약 ‘우루사’ [장수의약품을 찾아서⑦]
  • "기다린 팬 행사라더니"…'BTS 진 허그회' 응모 조건 논란에 빅히트 뮤직 사과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63,000
    • +0.39%
    • 이더리움
    • 5,311,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643,000
    • -0.77%
    • 리플
    • 721
    • -0.83%
    • 솔라나
    • 229,200
    • -1.38%
    • 에이다
    • 627
    • -0.63%
    • 이오스
    • 1,123
    • -0.71%
    • 트론
    • 161
    • +1.9%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0.53%
    • 체인링크
    • 25,470
    • -1.05%
    • 샌드박스
    • 611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