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홍콩시장서 자진 철수하는 이유는

입력 2020-07-07 17: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콘텐츠 자체 검열 논란 있지만 홍콩 반중국 활동 창구로 활용돼”…홍콩보안법 압박에 아예 발 빼기로

▲중국 바이트댄스의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틱톡’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바이트댄스의 소셜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틱톡’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스타트업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이 홍콩시장에서 자진 철수하는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후폭풍이 소셜미디어(SNS)로 번지는 분위기이지만 중국 업체가 시장에서 물러나는 것은 이례적이기 때문.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틱톡이 그동안 홍콩 민주파 인사들의 반중국 활동 창구로 이용돼 중국 정부 압박을 받았을 수 있다며 이에 회사 측이 홍콩보안법을 계기로 자진해서 물러나려 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틱톡 대변인은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건을 고려해 홍콩에서 틱톡 앱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련의 사건이란 중국이 지난달 30일 통과시킨 홍콩보안법을 의미한다. 홍콩보안법이 홍콩 시민의 자유와 인권을 침해한다는 비난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이 아니라 중국 업체가 홍콩을 떠나는 첫 소셜미디어가 된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진 셈이다.

틱톡은 15초 안팎의 동영상을 공유하는 앱으로 전 세계 10~20대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개인 정보 관리와 콘텐츠 검열 관련, 끊임없는 의심을 받아왔다. 틱톡이 개인 사용자에 대해 수집한 수많은 데이터를 중국 공산당에 보낸다는 의심과 사용자가 올린 동영상을 중국식으로 검열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하지만 바이트댄스 측은 그동안 “지난해 틱톡이 정치적인 이유로 홍콩 시위 영상을 삭제한 게 아니라 폭력적이고 민감한 콘텐츠를 가이드라인에 따라 삭제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중국 당국과의 연관성을 부인해왔다.

블룸버그는 틱톡은 홍콩 시장 자진 철수로 사용자 정보 제공과 콘텐츠 검열 논란을 피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 공산당에도 이득이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민주화 진영 인사들이 틱톡을 통해 홍콩 독립을 요구하는 영상을 올리는 등 반중국 활동의 창구로 활용됐다는 점에서다.

페이스북, 구글, 트위터 등 미국의 IT 공룡들은 홍콩보안법 시행에 반발해 전날 홍콩 정부의 사용자 정보 제공 요청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동법이 당국에 인터넷 감시와 규제 조치를 의무적으로 취하도록 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IT공룡들의 집단 반발에 이어 틱톡까지 자진 철수에 나서면서 소셜미디어 업계가 홍콩보안법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반감기’ 하루 앞둔 비트코인, 6만3000달러 ‘껑충’…나스닥과는 디커플링 [Bit코인]
  •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또 천만 노리는 ‘범죄도시4’,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단독 두산그룹, 3년 전 팔았던 알짜회사 ‘모트롤’ 재인수 추진
  • 기후동행카드, 만족하세요? [그래픽뉴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10: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456,000
    • +1.38%
    • 이더리움
    • 4,483,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700,000
    • +1.52%
    • 리플
    • 731
    • -0.27%
    • 솔라나
    • 203,500
    • +3.25%
    • 에이다
    • 667
    • +0.76%
    • 이오스
    • 1,123
    • +3.41%
    • 트론
    • 161
    • -0.62%
    • 스텔라루멘
    • 162
    • +1.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050
    • +0.15%
    • 체인링크
    • 20,190
    • +3.06%
    • 샌드박스
    • 639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