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표준 인증기업 68% “단체표준 인증, 판로 확대에 도움”

입력 2019-12-29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기중앙회 '단체표준 인증기업 및 인증단체 실태조사' 발표

(자료제공=중기중앙회)
(자료제공=중기중앙회)

단체표준 인증기업의 68.4%가 단체표준 인증이 판로 확대에 도움이 됐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지난달 단체표준 인증기업 266개사와 인증단체 40개를 대상으로 '단체표준 인증기업 및 인증단체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29일 공개된 조사에 따르면 인증기업의 68.4%가 단체표준 인증이 판로 확대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표준 인증이 판로 확대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기업(182개사) 중 절반에 가까운 46.7%는 단체표준 인증을 취득하기 전에 비해 인증 후에 해당 제품의 판매액이 1.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제품의 주요 판로로는 49.9%가 ‘조달청 다수공급자계약(MAS)’이라고 응답했다. 단체표준 인증이 주요 요건으로 활용되는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구매’가 6.4%, ‘우수 조달물품’이 4.0%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단체표준 인증을 획득하거나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인증단체가 실시하는 인증심사(제품심사/공장심사)에 대해서는 88.3%가 ‘공정하다’라고 응답했다. 인증단체의 인증업무 규정 준수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94.7%가 ‘규정을 따르고 있다’라고 조사돼 단체표준 인증에 대한 공정성은 어느 정도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이 단체표준 인증을 획득 과정에서 제품심사를 위해 이용하는 시험 ·검사기관에 대해서는 74.1%가 ‘만족하고 있다’라고 응답했다. 불만족한 사유에 대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78.3%), ‘비용 부담’(71.0%)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단체표준을 통한 중소기업 판로확대를 위해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단체표준 인증제품에 대한 판로 인센티브 상향조정’이 77.5%, ‘단체표준에 대한 홍보 강화’가 65.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체표준 인증사업이 인증단체 재정에 기여하는 정도에 대해서는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62.5%로 나타났다. 단체표준 인증업무 수행 후 총 수입액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85.0%로 단체표준 인증사업을 통해 많은 단체가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속한 단체표준의 제정과 인증단체의 신뢰성을 확보해 기업의 판로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며 “표준을 제정했지만, 아직 인증사업을 하지 않고 있는 단체들이 수요기관과 소비자들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인증사업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구서한 수령”
  • '무승부' 오만전, 업혀 나간 이강인…부상 정도는?
  • 글로벌 기관은 가상자산 투자 늘린다는데…국내는 법인참여 ‘속도’ 혼선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1일) 3막 9~12화 공개 시간은?
  • 인도네시아 팬들이 '신태용'을 1만 번이나 외친 이유
  • 젠슨 황 "삼성 그래픽 메모리 최고"…다시 한번 친필 사인
  • MBK가 쏘아올린 공, 속도붙는 PEF 규제 [사모펀드의 늪⑤]
  • ‘나솔사계’ 재롱은 10기 영식이 피웠는데…14기 경수, 세 여자 선택받았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09: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465,000
    • -1.38%
    • 이더리움
    • 2,931,000
    • -1.61%
    • 비트코인 캐시
    • 490,800
    • -2.72%
    • 리플
    • 3,577
    • -2.43%
    • 솔라나
    • 188,800
    • -3.72%
    • 에이다
    • 1,062
    • -1.21%
    • 이오스
    • 821
    • -1.44%
    • 트론
    • 345
    • +2.68%
    • 스텔라루멘
    • 414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00
    • +0.1%
    • 체인링크
    • 20,910
    • -4.08%
    • 샌드박스
    • 426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