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두달째 하락, 올레드TV·휴대용전화기·화학제품 하락주도

입력 2019-12-2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돼지고기·물오징어값 상승에 농림수산물 반등..유가상승에 석탄·석유 석달째 상승

생산자물가는 두달연속 떨어졌다. 하락폭은 줄어 반등 조짐도 엿보였다.

출고가 인하가 있었던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와 수요가 부진한 화학제품이 하락을 주도했다. 돼지고기와 물오징어 값이 오른 농림수산물은 한달만에 반등했고, 유가상승에 석탄 및 석유제품은 석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한 103.46을 기록했다(2015년 100 기준). 전월 0.2% 하락에 이어 두달째 내림세다. 전년동월대비로는 0.1% 떨어져 5개월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다만 하락폭은 하락했던 5개월중 가장 적었다.

품목별로 보면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는 1.0% 내려 석달연속 떨어졌다. TV(-4.7%)와 휴대용전화기(-1.2%)가 하락을 이끌었다. TV는 시장확대를 위해 출고가를 인하한 올레드TV로 인해, 휴대용전화기는 연말을 앞둔 일부제품의 가격 인하로 인해 각각 내림세를 보였다.

화학제품도 0.5% 내려 석달연속 하락했다. 수요부진에 부타디엔(-11.4%) 등이 하락한 때문이다.

국제유가 상승에 석탄 및 석유제품은 0.6% 올랐다. 실제 11월 평균 두바이유는 전월대비 4.4% 상승한 배럴당 61.99달러를 기록했다.

농림수산품도 0.9% 상승해 한달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직전월에는 4.7% 떨어져 1년만에 최대하락폭을 기록했었다. 특히 전년동월대비로는 1.0% 올라 10개월만에 상승 반전했다. 전년도 폭염과 가뭄에 따른 기저효과가 소멸하고 있는 모습이다.

아프리카 돼지열병 영향으로 떨어졌던 돼지고기값이 김장철 수육 수요에 오름세(13.8%)로 돌아섰다. 어획량감소로 물오징어 값도 올랐다(13.0%).

서비스는 보합을 기록했다. 정보통신 및 방송은 0.3% 떨어져 두달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저가요금 가입자가 늘어난 이동통신서비스가 하락(-1.3%)한 때문이다. 반면 운송은 0.2% 올랐다. 운송비 인상과 해외 물량 증가에 내항화물(7.7%)과 항공화물(3.3%)이 각각 상승했다. 주가상승에 따른 수수료 증가에 금융 및 보험도 0.2% 상승했다.

송재창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컴퓨터 전자 광학기기에서는 가격인하가 화학에서는 수요부진이 각각 영향을 미친게 특징”이라며 “전년동월대비 기준으로 하락폭이 축소됐고, 농림수산품은 상승반전했지만 추세적으로 반등을 이어갈지는 좀더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인 시황 어디서 봐?"…'애그리게이터'만 알면 한눈에 파악한다 [코인가이드]
  • ‘법정관리’ 엑시트 옵션 불과…제2, 제3의 홈플 나온다 [사모펀드의 늪]
  • 올봄 한국인 여행객이 사랑한 인기 여행지는 또 '일본' [데이터클립]
  • 역린 건드린 KIA 홍종표…야유보다 무서운 無응원 [해시태그]
  • "골프는 원래 정장 입고 하는 스포츠?" [골프더보기]
  • 에너지 취약계층이라면…산업부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신청해볼까 [경제한줌]
  • BTS가 불 붙이고, 제니가 방점 찍었다?…'콘서트 가격 논란'의 본질 [이슈크래커]
  • 故 김새론 측 "김수현 소속사, 2차 증명서까지 보내…SNS 사진 게재까지 막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3.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76,000
    • -1.28%
    • 이더리움
    • 2,779,000
    • -1.63%
    • 비트코인 캐시
    • 487,200
    • -1.91%
    • 리플
    • 3,414
    • -2.12%
    • 솔라나
    • 188,800
    • -4.26%
    • 에이다
    • 1,057
    • -2.22%
    • 이오스
    • 706
    • -4.59%
    • 트론
    • 312
    • -3.11%
    • 스텔라루멘
    • 398
    • -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160
    • -2.17%
    • 체인링크
    • 20,110
    • -2.94%
    • 샌드박스
    • 410
    • -3.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