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30년 이상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中과 공동 인공강우 추진하라”

입력 2019-03-06 11:16 수정 2019-03-06 11: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세문지 해소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 긴급 대책 마련하라”

▲문재인대통령은 5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으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보고를 받고 있다.(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대통령은 5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으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보고를 받고 있다.(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6일 미세먼지 문제를 해소하고자 “현재 30년 이상 노후화된 석탄 화력발전소는 조기에 폐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은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 긴급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 고농도 시 한·중이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동시에 공동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협의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인공강우 기술협력을 하기로 한·중 환경장관회의에서 이미 합의했고, 인공강우에 대한 중국 쪽의 기술력이 훨씬 앞선만큼 서해 상공에서 중국과 공동으로 인공강우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라”며 “중국 쪽에서는 우리 먼지가 중국 상하이 쪽으로 간다고 주장하는데 서해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하면 중국 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대사 지낸 노영민 비서실장은 “북경이 서울 경기 합친 만큼 넓은 땅인데 인공강우를 통해 새벽부터 밤늦도록 많은 양의 비를 내리게 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이 공동으로 미세먼지 예보시스템을 만들어 공동대응하는 방안을 추진하라면서 “필요하다면 추경(추가경정예산)을 긴급 편성해서라도 미세먼지 줄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라”고 당부했다. 이 추경이 편성되면 공기정화기 대수를 늘리거나 용량을 늘리는 지원 사업과 중국과의 공동협력 사업을 펴는 데 쓰일 예정이라고 김 대변인은 설명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6일 오후부터 자체보유 업무용 차량 운행 및 직원들의 출퇴근 시 개인 차량 이용을 전면금지하는 등 미세먼지 자체 대책 시행에 들어갔다.

노영민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미세먼지로 국민께서 피해와 고통을 겪고 있는 마당에 청와대가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기간에 보유 업무용 차량 51대 가운데 전기차 6대와 수소차 1대만 운행한다. 직원들도 같은 기간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근하기로 했다. 또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시에도 직원 차량 2부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53,000
    • +1.75%
    • 이더리움
    • 5,227,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39%
    • 리플
    • 726
    • -0.41%
    • 솔라나
    • 234,200
    • -0.76%
    • 에이다
    • 628
    • -0.32%
    • 이오스
    • 1,130
    • +0%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0.52%
    • 체인링크
    • 25,070
    • -2.87%
    • 샌드박스
    • 620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