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피 2096.0p, 상승(▲71.54p, +3.53%)마감. 외국인 +4403억, 기관 +129억, 개인 -4637억

입력 2018-11-02 15: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피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종반에도 상승 기조를 이어가며 마감했다.

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1.54포인트(+3.53%) 상승한 2096.0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사자’ 기조를 보인 반면, 개인은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4403억 원을, 기관은 129억 원을 각각 매수 했으며 개인은 4637억 원을 매도했다.

업종별 현황은 의료정밀(+4.53%)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건설업(+4.41%) 전기·전자(+4.31%)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의약품(+3.89%) 기계(+3.86%) 철강및금속(+3.56%) 등의 업종이 상승 마감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전선(+7.52%), 국내상장 중국기업(+6.63%), 태양광(+6.08%), 바이오시밀러(+5.50%), 엔터테인먼트(+5.28%)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삼성전자는 4.75% 오른 4만4150원에 장을 마쳤으며,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8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SK하이닉스가 6.30% 오른 7만2600원을 기록했으며, POSCO(+6.00%), LG화학(+5.61%)이 상승세를 보인 반면 SK텔레콤(-1.53%), 한국전력(-1.11%)은 하락했다.

그 외에도 KTcs(+16.48%), 웅진에너지(+16.03%), 디와이파워(+14.83%) 등의 종목이 상승했으며, 오리엔트바이오(-7.71%), 동양우(-7.33%), 동양2우B(-6.10%)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키다리스튜디오(+30.00%), 대동전자(+29.86%)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820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61개다. 18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22원(-0.97%)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일본 엔화는 993원(-1.16%), 중국 위안화는 163원(-0.37%)을 마감했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비트코인, 6만6000달러에서 관망세 계속…"내달 이더리움 ETF 거래 기대감↑"[Bit코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4: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085,000
    • -0.76%
    • 이더리움
    • 5,010,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592,000
    • -3.03%
    • 리플
    • 688
    • -0.86%
    • 솔라나
    • 207,100
    • +1.42%
    • 에이다
    • 577
    • -1.54%
    • 이오스
    • 902
    • -3.53%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800
    • -3%
    • 체인링크
    • 20,730
    • -1.19%
    • 샌드박스
    • 518
    • -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