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e모저모] 토다이 ‘음식물 재사용 논란’에 결국 사과…“한 번 잃은 신뢰는 다시 찾기 힘들어”

입력 2018-08-14 10: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산물 뷔페 토다이가 ‘음식물 재사용 논란’에 휩싸이자 곧바로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토다이는 13일 대표이사와 임직원의 이름으로 “지난달 5일부터 이달 9일까지 평촌점 뷔페 라인에 진열됐으나 소비되지 않은 음식 일부분을 조리해 다른 음식에 사용한 부분에 대해 잘못을 인정한다”며 “10여 년 동안 우리 토다이를 믿고 사랑해준 고객 신뢰를 무너뜨려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어 “이 일을 계기로 토다이는 재조리 과정을 전면 중단하고 잃어버린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자 더욱 강화된 위생 매뉴얼과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전 임직원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앞서 토다이 평촌점은 점심시간이 끝나면 진열됐다가 안 팔린 초밥에서 모은 찐 새우와 회 등을 걷어 끓는 물에 데친 후 롤 속 재료나 유부초밥 장식 등으로 사용한 사실이 이곳에서 근무하던 조리사들에 의해 드러났다.

토다이 측의 음식물 재사용은 단체 채팅방을 통해 구체적으로 전달됐다. 주방 총괄 이사가 모든 지점에 남은 회를 재사용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토다이 대표는 손님이 먹다 남긴 음식이 아니어서 위생 면에 문제가 없다는 뜻을 밝혀 공분을 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달 중 토다이를 포함한 해산물 전문 뷔페식당의 위생관리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네이버 아이디 ‘ansc****’는 “한 번 잃은 신뢰는 다시 찾기 힘들다. 토다이가 고객 신뢰를 다시 얻으려면 앞으로 엄청난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라고 밝혔다. 아이디 ‘pask****’는 “한 끼 식사 가격이 3만~4만 원이나 하는데… 음식물 재사용이 말이 되나? 식약처는 철저히 조사해 문제가 있다면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아이디 ‘youn****’은 “음식으로 장난치는 식당이 제일 싫다. 손님이 먹다 남긴 음식이 아니어서 위생에 문제가 없다고? 과연 본인이 돈을 내고 다른 데서 먹은 음식물이 재사용된 것이라도 옹호할까”라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7,000
    • +0.37%
    • 이더리움
    • 5,332,000
    • +0.68%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17%
    • 리플
    • 726
    • -0.14%
    • 솔라나
    • 232,600
    • -0.39%
    • 에이다
    • 634
    • +1.28%
    • 이오스
    • 1,138
    • +0.89%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00
    • -1.05%
    • 체인링크
    • 25,940
    • -0.04%
    • 샌드박스
    • 627
    • +3.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