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엔라이즈 대표 "익명 커뮤니티 '모씨'도 고민 나누며 ‘미투’ 함께 했죠”

입력 2018-03-21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봉기 엔라이즈 대표. (사진제공=엔라이즈)
▲김봉기 엔라이즈 대표. (사진제공=엔라이즈)
“모씨는 사람들이 쉽사리 꺼낼 수 없는 고민을 얘기하고 공감과 위로를 얻는 공간입니다. 최근에는 ‘미투’ 해시태그가 달린 관련 글이 약 6000여 개 올라오며 미투 운동의 한 흐름을 만들기도 했고, 미투 운동 이전에도 ‘성폭력’이나 ‘성폭행’ 태그로 상처를 고백하고 서로를 다독이는 커뮤니티를 형성해 왔습니다.”

김봉기<사진> 엔라이즈 대표는 20일 “실명 기반 SNS에서 사람들은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실제로 살아가는 모습은 그렇지 않다”면서 “어려운 얘기도 꺼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익명 커뮤니티 ‘모씨’를 만들게 됐다”고 설립 취지를 설명했다.

2014년 말 개설된 모씨는 현재 월 평균 50만 명에 이르는 이용자들이 찾는다. 누군지 모르는 사람을 지칭할 때 쓰는 ‘모씨’에서 이름을 따온 이 애플리케이션 안에서 이용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담은 카드 메시지를 공유하고 다른 이들로부터 위로와 조언을 얻는다.

철저한 익명성을 지향하기 때문에 가입 과정에서 나이와 성별을 제외하고는 휴대폰 번호나 이메일, IP 주소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떤 정보도 수집하지 않는다. 모씨에서 최근 수많은 ‘미투’ 해시태그가 달린 카드글이 쏟아졌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용자들이 익명성 안에서 안전하게 더 솔직한 자신을 드러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모씨의 이용층은 18~24세의 젊은 세대가 전체 유저의 70%, 여성이 전체의 65%다. 이들은 가벼운 짝사랑이나 연애 이야기부터 가정이나 학교, 직장에서의 폭력 경험 등에 이르기까지 무거운 주제로 솔직하게 이야기를 나눈다. 주제를 해시태그로 분류하고 ‘카드’ 형태로 담아내는 UI(유저 인터페이스) 역시 주 이용자층에 맞게 감성을 더한다. 모씨에서 작성된 ‘카드’가 실명 게시판인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으로 퍼져 바이럴을 만들기도 한다.

김 대표는 “익명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어떻게 익명의 장점을 살릴 것인지를 많이 고민한다”고 설명했다. 익명성과 신뢰성을 함께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실제로 하루에 작성된 카드의 약 2%에서는 익명성을 악용해 불건전한 만남을 하거나 사이버 불링(온라인 괴롭힘)이 이뤄지기도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카드, 금칙어 등 3가지 단계로 필터링 시스템을 가동하지만 이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모씨는 완전한 익명을 넘어 ‘선택적 익명’의 영역으로 확장을 모색하는 중이다. 김 대표는 “익명으로 만난 사람들이 친분을 쌓으면서 조금 더 서로 다가갈 수 있도록 카드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음성이나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확장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모씨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위피’라는 또 다른 커뮤니케이션 데이팅 앱의 프로토타입 제작을 완료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위피에서는 실명 기반 서비스를 테스트 중”이라면서 “앞으로도 사람들을 연결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尹에 ‘민생영수회담’ 제안...“정기국회까지 정쟁 멈추자”
  • 민족 대명절 ‘한가위’…우리 동네 쓰레기 배출일 언제일까
  • "이거 쓸만하네" TV 대용으로 손색없는 '삼탠바이미' [써보니]
  • 디에이치·오티에르…선택받은 소수만 허용되는 아파트 '하이엔드 브랜드'
  • 추석 선물 현금 대신 '효도보험' 어떠세요
  • 챗GPT에 물었다…추석 끝내주게 잘 보내는 방법
  • 한국 야구, '4연패' 도전 불씨 살렸다…태국에 17-0 콜드게임승
  • 임영웅, “대학 얘기, 결혼 얘기 금지”…센스 있는 추석 인사에 폭소
  • 오늘의 상승종목

  • 09.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698,000
    • -1.87%
    • 이더리움
    • 2,265,000
    • -3.62%
    • 비트코인 캐시
    • 328,900
    • -0.09%
    • 리플
    • 693.5
    • -2.3%
    • 솔라나
    • 33,000
    • +0.7%
    • 에이다
    • 357.4
    • -2%
    • 이오스
    • 818.7
    • +0.02%
    • 트론
    • 120.1
    • -1.07%
    • 스텔라루멘
    • 152
    • -1.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00
    • +11.89%
    • 체인링크
    • 10,390
    • -3.71%
    • 샌드박스
    • 419.3
    • -3.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