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범 LGD 부회장 “OLED로 사업전환 가속화… 2020년까지 매출 40% 목표”

입력 2018-01-09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中 광저우 OLED 공장, 2019년 상반기 양산 계획 차질 없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서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이 올해의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서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이 올해의 사업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상황은 어렵지만 올해를 잘 버텨야 OLED에 투자하죠. 2020년까지 OLED 매출 비중 40% 가져가고 싶습니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은 ‘CES 2018’ 개막을 하루 앞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서 올해의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한 부회장은 “올해도 중국 업체들의 LCD 패널 판가 경쟁 등으로 상황은 어렵겠지만, 남들이 하지 못하는 차별화된 제품을 가지고 2018년도를 임하겠다”며 “OLED 투자를 가속화해 2020년 매출 비중을 40%까지 늘리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65인치가 메인이 될 텐데 해당 인치 생산에 효율적인 8.5세대 시스템을 구축해놨기 때문에 가격 경쟁도 해볼 만 하다”면서 “OLED도 작년 하반기 EBIDA(상각전영업이익) 플러스를 기록했기 때문에 올해 TV에서 흑자를 만들어 보겠다”고 다짐했다.

프리미엄 TV시장에서 OLED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TV사업부를 TV사업본부로 승격시켰다. 아울러 올해 대형 OLED 판매 목표를 280만 대로 늘렸으며, 2020년에는 650만 대 이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기존 라인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고, 롤러블과 투명 등 OLED만의 독보적인 혁신 제품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신규 시장을 창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 65인치 롤러블 디스플레이(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65인치 롤러블 디스플레이(사진제공=LG디스플레이)

이날 간담회에 앞서 LG디스플레이는‘65인치 UHD 롤러블 OLED’ 디스플레이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 제품은 둘둘 말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완전히 다 폈을 경우 16대9 화면비의 65인치 TV가 된다. 1단계로 감으면 영화 감상에 최적인 21:9 화면 비가 되며, 여기서 한번 더 감으면 사진이나 시간, 날짜표기 등 생활 속 다양한 정보를 띄울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변신한다.

한 부회장은 “상용화 시점을 이야기하긴 아직 이르지만 이번에 이 제품을 선보인 것은 OLED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있다는 것을 소개시키기 위함”이라며 “65인치 롤러블은 OLED와 미래 디스플레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LG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시장에서 POLED를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한다는 전략 아래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또 6세대 POLED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신규 라인도 적기에 양산하는 한편, 폴더블, AR, VR과 같은 차세대 기술도 미리 준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 부회장은 “중국과 규모의 경쟁도 안되고 중소형 OLED에서 후발주자임은 확실하지만 폴더블, VR, AR 등 미래를 위해서라도 중소형 OLED를 안 할수 없다”며 “시행착오 많이 겪었고 문제의 원인을 파악했기 때문에 대형 OLED 수율이 올라간 것처럼 중소형 역시 드라마틱하게 오를거라고 믿고있다”고 자신했다.

또한, 그는 최근 정부의 승인을 받은 중국 광저우 8.5세대 OLED 공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 부회장은 “예상보다 3개월이 늦춰졌지만 2019년 상반기 양산 계획은 차질이 없다”고 말했다.

양산 시기를 맞추기 위해 인력 투자 등 투자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냐는 질문에 “중국은 한국과 달리 공장을 지을 때 지하를 파지 않고 바로 파일링을 하기 때문에 기간이 덜 소요되고 이미 정부 승인을 받기 전부터 기반공사가 진행됐다”며 “인력 투입에 대한 인간비 상승은 조금 있겠지만 전체적인 투자 금액은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830,000
    • -0.36%
    • 이더리움
    • 5,235,000
    • -1.26%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0.08%
    • 리플
    • 727
    • +0.55%
    • 솔라나
    • 230,100
    • +0.13%
    • 에이다
    • 633
    • +0.32%
    • 이오스
    • 1,098
    • -3.68%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6
    • -1.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950
    • -0.12%
    • 체인링크
    • 24,550
    • -2.5%
    • 샌드박스
    • 627
    • -2.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