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대인플레는 미래전망이 아니었다

입력 2018-01-05 15: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선진국과 달리 과거 지향적이고 일부정보만 활용..경기 않좋으면 인플레 되레 오른다 생각

우리나라에서 발표되는 기대인플레이션은 미래를 전망하는 수치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선진국과 달리 기대 형성이 과거 인플레이션 수준에 의해 좌우되는 등 과거 지향적이었고, 자주 구매하거나 지출하는 일부품목의 가격정보에 주로 의존하며 거시지표 중에서도 소비자물가와 임금 등 물가지표만 활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연령별, 성별, 소득수준 등 응답자의 개인특성과 경제를 바라보는 전망에 따라서도 기대인플레 수준이 달랐다. 특히 경기가 불황일수록 기대인플레이션이 높게 나타나 일반적인 경제이론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의 안착과 통화정책 과정에서 기대인플레이션 보다는 실제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안정시키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봤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5일 한국은행 통화신용연구팀 남민호 과장과 고민지 조사역이 공동 발표한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의 특징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유로지역과 영국, 일본, 한국의 인플레이션 기대와 인식, 실제수준간 상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인플레이션 인식과 기대간 절대평균격차가 유로지역은 2.38%포인트, 영국은 0.49%포인트, 일본은 0.91%포인트인데 반해 한국은 0.05%포인트에 그쳤다.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향후 1년간의 인플레이션이 현재 인식하는 인플레이션 수준과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 즉 기대 형성방식의 과거지향적 성격이 강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주체가 인플레이션 관련 정보를 갱신하는 횟수가 적다는 점, 즉 정보경직성이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점에 일부 기인한 것으로 추측했다.

개인특성별로도 고령층, 여성, 고소득층, 비수도권 거주자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취업기회 전망이 비관적인 응답자일수록 기대인플레이션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은 과거지향적이고 제한된 범위의 정보에 주로 의존해 형성되고 있었다”며 “통화정책 과정에서 기대인플레이션의 안착을 위해서는 실제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오늘(18일) 의협 주도 병원 집단 휴진…휴진 병원 대상 불매운동 움직임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비트코인, ETF 매도세 지속에 지지부진…"자산운용사도 ETF 매수 주저"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12:3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55,000
    • -1.17%
    • 이더리움
    • 4,834,000
    • -4.03%
    • 비트코인 캐시
    • 550,500
    • -7.4%
    • 리플
    • 689
    • +0.44%
    • 솔라나
    • 189,600
    • -8.76%
    • 에이다
    • 531
    • -8.45%
    • 이오스
    • 799
    • -11.52%
    • 트론
    • 162
    • -1.22%
    • 스텔라루멘
    • 130
    • -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00
    • -10.33%
    • 체인링크
    • 19,280
    • -7.57%
    • 샌드박스
    • 443
    • -15.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