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전방 급제동 차량 알림기술 T맵에 적용… ‘커넥티드카’ 상용 본격화

입력 2017-05-22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운전자 안전 높이는 차량 통신 기술 ‘T리모트아이 V2X’, 월드IT쇼 통해 공개

▲SK텔레콤 모델들이 차량공유서비스 ‘쏘카’ 대여차량 앞에서 V2X가 탑재된 T맵 앱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 SK텔레콤)
▲SK텔레콤 모델들이 차량공유서비스 ‘쏘카’ 대여차량 앞에서 V2X가 탑재된 T맵 앱을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 SK텔레콤)

SK텔레콤이 급제동 등 전방 차량의 사고 징후를, 뒤따르는 T맵 이용 고객들에게 전달하는 ‘커넥티드카’ 기술을 조만간 내놓는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 개발을 앞당길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자동차에 통신 기능을 탑재해 주행 안전을 크게 높이는 차량 기술 ‘T리모트아이 V2X(Vehicle to Everything)’와 ‘리모트ADAS’(Remote Advanced Driving Assistance System)의 개발 속도를 높여 올 하반기에 상용화하겠다고 22일 밝혔다.

V2X는 차량-차량, 차량-사물인터넷(신호등, 관제센터, 홈IoT 등)간 LTE, 5G 등 이동통신망을 통해 자동차 카메라나 센서가 탐지 못하는 사각 지역의 상황을 운전자에게 실시간 전달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T리모트아이 V2X’는 이름으로 이 기술을 독자 개발해왔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을 오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하는 ‘월드IT쇼’에서 공개한다. 현장에선 이 기술을 활용해 △선행 차량의 급제동시 후행 차량의 T맵에 자동으로 경고를 보내고 △ 주변 신호등의 신호 잔량 정보나 운행 전 집 안의 가스밸브가 열렸을 때 운전자에게 주의 알람을 보내는 등 응용 서비스를 공개 시연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선행 차량의 위험 상황을 후행 차량에 알리는 서비스는 LTE 망을 활용해 하반기 T맵에 상용화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22일 국내 1위 차량공유서비스 업체인 ‘쏘카’와 제휴를 맺고, ‘리모트ADAS’ 기술을 테스트 차량을 통한 기술 검증에 나선다. 리모트ADAS는 차량 주변을 감지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통해 차선 이탈, 앞 차 및 보행자 추돌 위험 등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과 쏘카는 7월 말까지 ‘리모트ADAS’ 솔루션 테스트 및 검증을 완료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빠르면 하반기 상용화할 방침이다.

T리모트아이 V2X·리모트ADAS 기술은 LTE망을 통해 커넥티드카에 적용돼 구현된다. SK텔레콤은 이 기술을 5G를 통해 자율주행차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상용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기술을 진화시킬 계획이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4차 산업혁명 주도를 위해 자율주행 기반 기술을 다양한 파트너들과 폭 넓게 개발하고 있다”며 “자율주행 선행 기술을 차례로 상용화하고, 완성차 업체 및 글로벌 ICT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1월 BMW코리아와 5G 커넥티드카 ‘T5’를 선보이고, 최근 세계적인 하드웨어 기업 엔비디아와 자율주행 공동 프로젝트 협약 등을 체결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44,000
    • +0.28%
    • 이더리움
    • 5,297,000
    • -0.38%
    • 비트코인 캐시
    • 644,500
    • -0.08%
    • 리플
    • 724
    • -0.55%
    • 솔라나
    • 231,200
    • -0.99%
    • 에이다
    • 630
    • +0.32%
    • 이오스
    • 1,134
    • +0.18%
    • 트론
    • 159
    • +1.27%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0.76%
    • 체인링크
    • 25,620
    • -1.42%
    • 샌드박스
    • 620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