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공포] 美 금리인상 과거사례 살펴보니...

입력 2016-11-08 11: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97년 ‘외환위기’ 전주곡… 1999년엔 ‘IT버블 붕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가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7차례 연속된 동결이다. 하지만 12월에는 고용시장 안정세에 따라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게 지배적이다.

국내 경제는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거론될 때마다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에 있던 달러들이 미국으로 유입되면서 그만큼 달러 가치가 높아진다(원화 가치 하락, 원·달러 환율 상승).

이는 코스피지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즉, 미국 금리 인상은 국내 주식시장 폭락은 물론, 주택 가격 폭락 등 경제 다방 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과거 금리 인상 사례를 살펴보면, 1990년대 이후 세 차례 조정된 금리인상 결과, 코스피 지수가 두자리수 이상 곤두박질 치는 등 상당한 타격이 있었다.

1994년 3월 미국은 3년간의 저금리 정책으로 주식과 주택 가격이 오르자, 예고 없이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정책금리는 이듬해 2월까지 약 1년에 걸쳐 3.25%에서 6.00%까지 두 배 가까이 인상됐고, 이는 1997년 한국 외환위기 발생의 한 원인이 됐다. 금리가 인상되자 개발도상국 등 불안정한 시장에 투자했던 자본이 미국으로 유입됐기 때문이다.

1999년에도 6월에 기존 4.75%에서 5.00%로 한 차례 금리 인상이 있었다. 이후 2000년 5월 6.50%까지 1.75%포인트가 올랐다. 그 이후 IT버블 붕괴로 다시 정책금리를 인하해야 했다. 당시 우리나라도 상당수 IT 업체들이 문을 닫았다.

2004년에도 미국은 물가가 오르자 2년에 걸쳐 금리를 약 4.25%포인트 인상했다. 하지만 부동산 담보 대출 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부동산 가격 하락이 빠르게 진행됐고 신용 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의 ‘서브프라임’ 연체율이 급증했다. 2006년 6월 0.25%포인트 인상한 5.25%를 기록한 후 오랜동안 ‘금리 인상 행진’은 중단됐다.

이후 9년 6개월 만인 지난해 12월16일, 미국은 금리 인상(0.25%p)을 단행했으며 1년 만인 올 12월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고용 호조에 힘입어 시장이 예측하는 금리인상 가능성은 80%로 뛰어 올랐다.

다만 이번에는 미국의 금리인상 영향이 지난해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한국은행도 지난 1일 ‘2016년 10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 미 연준의 정책금리 전망경로가 기존보다 완만해졌고, 최근 글로벌 금융·경제여건도 지난해 미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와 비교해볼 때 대응력이 일정부분 제고된 것으로 본다”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난해보다 크지 않을 것”이고 예측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62,000
    • +0.34%
    • 이더리움
    • 5,337,000
    • +0.91%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9%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2,300
    • -0.51%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42
    • +0.79%
    • 트론
    • 159
    • +1.92%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1.1%
    • 체인링크
    • 25,740
    • -0.23%
    • 샌드박스
    • 629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