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혁신적 공조 제품으로 북미 시장 공략

입력 2016-01-2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에너지 절감ㆍ빌딩 통합 관리 최적화한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 첫 공개

▲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냉난방 공조 설비 박람회 '2016 AHR 엑스포'에 참가한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많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시스템에어컨과 중앙 공조 제품, 스마트 빌딩 솔루션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을 둘러 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냉난방 공조 설비 박람회 '2016 AHR 엑스포'에 참가한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많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시스템에어컨과 중앙 공조 제품, 스마트 빌딩 솔루션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을 둘러 보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25일(현지시간)부터 27일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리는 국제 냉난방 공조 설비 박람회 ‘2016 AHR 엑스포’에서 혁신적인 공조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북미 공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이번 박람회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최첨단 기술력이 더해진 △‘360 카세트’ △‘DVM S’ △‘DVM S Max-Heat’ △‘DVM 칠러’ 등 다양한 시스템에어컨과 중앙 공조 제품을 비롯해 스마트 빌딩 솔루션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지난해 국내 첫 공개로 많은 관심을 받은 삼성 360 카세트 실내기는 항공기나 풍력발전기 등에 활용하는 기류 제어 원리에서 응용한 부스터 팬을 세계 최초로 적용해 냉기가 수평으로 균일하게 퍼져 내려와 직접 닿는 찬바람의 불쾌함을 없앴다. 특히 독특한 원형 구조로 사각지대 없이 쾌적한 냉방을 제공하며 설치된 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조형미를 극대화했다.

삼성 DVM S는 기존 제품 대비 면적은 40%, 하중은 31% 축소한 콤팩트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동급 최대 수준인 18톤의 최대 용량을 구현,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또 삼성 인버터 압축기와 하이브리드 열교환기를 적용해 에너지 효율이 증대됐다.

겨울철 평균 기온이 특히 낮은 지역에서 수요가 많은 한랭지향 전용 실외기인 DVM S Max-Heat는 ‘플래시 인젝션(Flash Injection)’ 기술을 적용해 영하 25℃의 기온에서도 100% 난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으로 북미 시장에서 출시된다.

별도의 냉각탑 없이 설치 할 수 있는 DVM 칠러는 기존 제품에 비해 크기는 21% 작아지고 효율은 54% 향상돼 업계 최고 수준의 냉방 성능을 자랑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에너지 절감과 빌딩 통합 관리에 최적화된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건물 내 시스템에어컨은 물론 각종 기계설비, 조명, 전력 등의 통합 제어가 가능하며 중소형에서 대형 빌딩까지 각 용도별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삼성의 스마트 버티컬 솔루션이 적용된 호텔에서는 스마트TV를 통해 객실 내의 공조, 조명, 잠금 장치 등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객실 내 투숙객의 부재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통해 약 3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일반 빌딩에서는 건물 내 시스템에어컨과 중앙공조, 네트워크, 보안, 주차, 엘리베이터, 신재생 에너지 등을 통합으로 관리할 수 있고 클라우드 기반의 원격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해 IoT(사물인터넷) 시대에 최적화된 스마트 빌딩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미국 약 50개 도시를 순회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공조 제품과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북미 공조 시장 판매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비트코인 떨어지니 알트코인 불장 오나…"밈코인 도미넌스는 하락 중" [Bit코인]
  • 반복되는 ‘어지럼증’ 이유가? [e건강~쏙]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1 12: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79,000
    • -0.41%
    • 이더리움
    • 4,957,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552,500
    • +0.36%
    • 리플
    • 691
    • -0.58%
    • 솔라나
    • 187,100
    • -0.64%
    • 에이다
    • 546
    • -0.18%
    • 이오스
    • 814
    • +0.62%
    • 트론
    • 165
    • +1.23%
    • 스텔라루멘
    • 133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0.32%
    • 체인링크
    • 20,160
    • -0.44%
    • 샌드박스
    • 472
    • +2.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