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작년 허위·과대광고 식품 552건 적발…대다수 인터넷 제품

입력 2016-01-12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한 해 동안 식품 허위·과대광고 적발건수는 500건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다수는 인터넷에서 광고·판매하는 제품이었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신문, 방송, 인터넷 등에서 질병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표방하는 등 허위·과대광고한 식품 552건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광고 매체별로 보면 인터넷이 517건으로 전체 적발 건수의 93.7%를 차지했다. 이어 신문(11건), 잡지(2건), 기타(22건) 등은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을 차지했다.

위반 유형을 살펴보면 암, 당뇨 등 질병 치료를 표방해 허위·과대 광고한 경우가 396건으로 가장 많았고 심의 미필(41건), 체험기(21건), 기타(94건) 등이 뒤를 이었다.

식약처는 적발된 제품 중 246건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하고, 고발(240건), 시정(26건), 품목정지 등 기타 처분(40건) 등의 조치을 취했다.

특히, 이 중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한다고 허위·과대광고한 행위에 대해서는 10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 등 처벌 수준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인터넷에서 식품을 허위·과대광고하는 사이트 1만3천32곳을 적발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해당 사이트의 차단을 요청했다.

아울러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광고하는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성기능 개선 등을 표방한 제품을 수거해 검사한 결과, 47건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돼 해당 사이트를 차단하고 관세청에 통관 금지를 요청했다.

식약처는 포털사이트,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 인터넷에서의 불법 행위를 막고자 인터넷 식품 판매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인터넷에서 식품을 판매하는 통신판매업자가 영업신고를 의무화해 매년 위생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식품위생법' 시행령 개정안을 6월 중 마련할 계획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품은 식품일 뿐 약이라는 인식을 갖지 말고, 제품을 구매하기 전 반드시 제품의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22,000
    • +1.51%
    • 이더리움
    • 5,321,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0.08%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0,800
    • -0.26%
    • 에이다
    • 635
    • +0.32%
    • 이오스
    • 1,146
    • +0.97%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300
    • +0.35%
    • 체인링크
    • 25,220
    • -1.64%
    • 샌드박스
    • 643
    • +2.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