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실버론 대출자 10명 6명…전·월세 자금 충당

입력 2015-12-02 09: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민연금 대출 프로그램인 '실버론'을 통해 노후긴급자금을 대출받은 만 60세 이상 수급자 10명 중 6명은 이렇게 빌린 돈을 전·월세 자금으로 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몇 년 사이 주택가격 급등의 여파로 전·월세 비용이 상승한 데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2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2012년 5월 국민연금 실버론 시행 이후 2015년 10월말 현재까지 총 3만591명이 총 1222억원을 빌렸다.

용도별로는 전·월세 자금이 59.6%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38.6%, 배우자 장제비 1.3%, 재해복구비 0.6% 등의 순이었다. 1인당 평균 대부금액은 399만원이고, 평균 상환기간은 51개월이었다.

또 빌린 돈을 갚지 못한 연체율은 0.34%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5년 5월 기준 다른 서민금융 연체율(햇살론 12.2%, 새희망홀씨 3.2%, 바꿔드림론 25.7%)보다 훨씬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실버론은 국민연금기금을 활용해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만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에게 긴급 생활안정자금을 저리로 빌려주는 서민금융사업이다.

실버론은 올해 특히 큰 인기를 끌었다. 올해 책정한 270억원의 대부자금은 일찌감치 동나서 보건복지부는 71억원의 자금을 추가 편성하는 등 긴급 수혈했다. 이런 인기에 힘입어 1인당 최대 500만원이었던 대부한도를 지난 7월 신규 대부자부터 750만원까지 올렸다.

초기 원금상환의 부담을 덜어주고, 상환시기에 대한 선택권을 보장해주려는 취지로 대부자 자신의 선택에 따라 1년 또는 2년의 거치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2013년 10월 1일부터는 연대보증 및 보증수수료(연 0.5%)를 폐지해 연대보증을 세우거나 보증 수수료 부담해야 하는 불편을 덜어줬다.

복지부는 내년 국민연금 대출예산으로 340억원을 짰다.

실버론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는 2013년 11월 92.1%, 2014년 2월 91.8%, 2015년 1월 90.6%, 2015년 11월 90.7% 등 매년 90% 이상으로 높다.

이용자는 긴급자금이란 취지에 맞는 '빠른 대출'(32.1%), '낮은 이자'(31.7%), '무담보, 무보증'(13.4%) 등을 만족하는 이유로 꼽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벤츠가 특별 제작한 자동차 받은 페이커, 반응은?
  • 1년 새 3배 넘게 폭증한 10대 사범…고민 깊던 정부, 정책방향 전환키로
  • 한국, 싱가포르에 7-0 대승…손흥민ㆍ이강인 멀티골 "오늘 뿌듯하다"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율희, 이혼 6개월 만에 새 남자친구?…"오해 소지 다분" 직접 해명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09: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300,000
    • -0.1%
    • 이더리움
    • 5,294,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0.66%
    • 리플
    • 725
    • -0.28%
    • 솔라나
    • 236,200
    • -1.46%
    • 에이다
    • 636
    • -0.47%
    • 이오스
    • 1,089
    • -2.42%
    • 트론
    • 160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500
    • -1.19%
    • 체인링크
    • 23,970
    • -2.2%
    • 샌드박스
    • 660
    • +1.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