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9개월 연속 ‘빨간불’ ... 4분기도 먹구름

입력 2015-09-21 14: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경제 성장을 이끌어 온 수출 전선이 이달에도 ‘흐림’ 상태를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올해 들어 8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이달에도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유가와 환율 등 경기적 요인에 중국의 성장률 둔화와 무역구조 변화 등 구조적 요인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한 영향이 컸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집계된 수출액(통관 기준)은 276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했다. 작년 추석연휴가 월초에 있어 이미 이달 20일까지 조업일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일 많았음에도 수출은 더 줄었다. 월말 추석연휴(28~29일)로 조업일수가 2일 더 줄어들 예정이라 감소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수입도 239억6000만 달러로 20.4%나 대폭 줄었다.

올해 들어 수출액은 1월 0.9%, 2월 3.3%, 3월 4.5%, 4월 8.0% 줄어들었고, 5월 들어서는 두 자릿수인 11.0%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6월에는 감소폭이 2.4%로 줄었으나 7월 다시 3.4%로 커진 데 이어 8월 들어 2009년 8월(-20.9%) 이후 6년 만에 최대치인 14.7%나 감소했다.

남은 하반기 수출 여건도 녹록지 않다. 올해 내내 엔화 약세로 시달린 한국 수출은 8월 들어 중국 위안화 약세의 공세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통상 중국의 위안화 평가 절하 여파가 2~3개월 후 나타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로 갈수록 수출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세계경제 부진 우려에 맥을 못 추고 있는 국제유가도 우리 수출의 주력 품목인 석유제품 수출액 감소를 가속화할 우려가 적잖은 데다, 한국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 경기 침체도 간과할 수 없는 대외 악재다.

실제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이 발표한 7월 무역경기확산지수를 보면 수출경기확산지수는 전달보다 1.9포인트 하락한 40.7포인트를 기록했다. 무역경기확산지수는 50을 기준으로 50보다 작으면 경기하락(수축) 국면임을 의미한다. 수출지수의 경우 실수출입경기보다 약 7개월 선행한다. 앞으로의 수출경기 흐름에도 먹구름이 잔뜩 낀 것이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원화 약세라는 호재에도 중국의 경기둔화와 일본 엔화 약세, 세계교역량 정체 등의 이유로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이 지속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해외기업 '하도급 갑질' 꼬리 자른다 [하도급법 사각지대①]
  • '주말 소나기'에도 식지 않는 불볕더위…오후부터 자외선·오존 주의보
  • '엘롯라시코'에 팬들도 탈진…이틀 연속 9:8 '끝내기 혈투'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삼성전자, '포브스' 글로벌 순위 21위…전년비 7계단 하락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10:1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57,000
    • +0.15%
    • 이더리움
    • 5,114,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602,000
    • -0.91%
    • 리플
    • 690
    • -0.43%
    • 솔라나
    • 212,000
    • +3.21%
    • 에이다
    • 588
    • +0.34%
    • 이오스
    • 918
    • -2.13%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9,450
    • -1.14%
    • 체인링크
    • 21,270
    • +1.72%
    • 샌드박스
    • 538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