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기업공개 진두지휘하는 황각규는 누구?

입력 2015-08-20 08: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동빈과 25년 인연, 최측근 신임 두터워… ‘신동빈의 브레인’ M&Aㆍ롯데개혁 주도

롯데그룹의 개혁을 위해 신설될 태스크포스팀(TFT)을 그룹 정책본부 운영실장인 황각규 사장이 맡을 전망이다. 황 사장은 신 회장의 수족이 되어 롯데 개혁을 전면에서 진두지휘할 유력한 인물로 부각되면서 그룹 내 그의 영향력과 면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황 사장은 ‘신동빈의 오른팔’, ‘신동빈의 남자’, ‘신동빈의 브레인’ 등 다양한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인물로, 신 회장의 가장 최측근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신격호 총괄회장이 지난달 작성한 해임지시서에 신 회장과 함께 포함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룹 내 2인자라는 존재감을 다시한번 각인시켰다.

서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황 사장은 1979년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에 입사한 뒤 1995년 롯데그룹 기획조정실 국제부 부장, 2003년 국제실 상무, 2008년 국제실 부사장, 2011년 롯데쇼핑 사장을 거쳐 2014년부터는 정책본부 운영실장을 맡은 ‘롯데맨’이다.

신 회장과의 인연은 25년 전 호남석유화학에서 시작됐다. 신 회장이 1990년 호남석유화학 상무로 입사해 후계자 수업을 받을 당시 바로 아래 부장이 황 사장이었다. 일본에서 건너올 당시 한국어가 서툴던 신 회장에게 유창한 일본어로 업무를 보좌하면서 신임을 얻었다.

황 사장은 신 회장이 롯데그룹 기획조정실(현 정책본부) 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길 때 함께 이동했다. 그는 기획조정실 산하 국제부 부장으로 신 회장을 최측근에서 보좌했다. 당시 그룹 기획조정실에는 국제부라는 부서가 없었지만, 신 회장이 황 사장을 위해 새로 만들었다. 국제부는 나중에 국제실로 격상됐다.

황 사장은 그동안 신 회장이 주도한 인수ㆍ합병(M&A)과 외국시장 개척 업무를 최측근에서 보좌하면서 그룹 내에서 최고 전략가로 통한다.

이번 경영권 분쟁과 관련해서도 신 회장이 발표한 롯데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을 골자로 한 지배구조 쇄신 방안(호텔롯데 상장, 순환출자 해소, 지주회사체제 전환)을 진두지휘했다. 그는 호텔롯데는 물론, 세븐일레븐(코리아세븐)과 롯데리아 등 다른 계열사들의 상장 작업 등을 추진하면서 신 회장의 투명경영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황 사장 이외에도 ‘신동빈 파(派)’로 구분될 수 있는 측근은 이인원 롯데그룹 정책본부 부회장, 쓰쿠다 다카유키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이원준 롯데쇼핑 사장 등을 꼽을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82,000
    • -0.52%
    • 이더리움
    • 5,284,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0.85%
    • 리플
    • 726
    • +0.28%
    • 솔라나
    • 233,500
    • +0.56%
    • 에이다
    • 627
    • +0.16%
    • 이오스
    • 1,124
    • -0.53%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00
    • -0.58%
    • 체인링크
    • 25,870
    • +4.06%
    • 샌드박스
    • 606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