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한국시장 점유율 33%로 약진…삼성 바짝 추격

입력 2015-01-22 14: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ㆍ중국에서도 판매 호황…대형화면 아이폰6ㆍ6플러스는 신의 한수?

▲한국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추이. 하늘색-삼성 / 회색-애플 / 빨간색-LG / 파란색-팬텍. 출처 카운터포인트

애플이 한국시장에서 점유율을 대폭 끌어올리며 터줏대감인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한국 스마트폰시장에서 지난해 11월 애플의 점유율이 33%로, 같은 해 9월의 15% 미만에서 급등했다고 21일(현지시간) 미국 IT전문매체 시넷(Cnet)이 홍콩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애플은 14%를 기록한 LG전자를 따돌리고 2위에 올랐다. 삼성은 여전히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점유율은 종전의 60%에서 46%로 크게 낮아졌다.

4.7인치의 아이폰6와 5.5인치의 아이폰6플러스 등 한국은 물론 아시아에서 선호하는 대형화면 제품을 내놓은 것이 애플의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카운터포인트의 톰 캉 리서치 담당 이사는 “한국 스마트폰시장에서 외국 브랜드가 20% 점유율을 넘은 적이 없었다”며 “만일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 공급이 원활했다면 애플 점유율이 40%를 넘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패블릿(스마트폰+패블릿)을 선호하는 시장”이라며 “애플은 대형화면 아이폰에 대한 한국 소비자의 갈등을 해소했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일본과 중국에서도 판매가 호황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애플의 일본시장 점유율은 51%로, 2위인 소니(17%)에 월등히 앞섰다. 카운터포인트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애플이 강한 지역”이라며 “그러나 지금 애플의 지배에 도전할 만한 경쟁자가 나오기 더 어렵게 되고 있다”고 밝혔다.

애플은 중국에서는 샤오미(18%)와 레노버(13%)에 이어 3위(12%)에 올랐으나 아이폰 판매는 전년보다 45% 급증해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반면 삼성의 중국 점유율은 9%에 그쳤다. 닐 샤 카운터포인트 이사는 “조사 기간 중국 전체 아이폰 판매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을 정도로 아이폰6가 가장 인기 많은 모델이었다”며 “6플러스도 공급난이 해소돼 설날 연휴가 있는 올해 1분기까지 판매가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78,000
    • -0.22%
    • 이더리움
    • 5,030,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548,000
    • -0.09%
    • 리플
    • 696
    • +0.58%
    • 솔라나
    • 190,800
    • -1.24%
    • 에이다
    • 542
    • +0%
    • 이오스
    • 803
    • +2.42%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000
    • +1.56%
    • 체인링크
    • 20,190
    • +3.06%
    • 샌드박스
    • 456
    • +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