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새 먹거리 원전 해체시장 개척에 6000억원 투입

입력 2015-10-05 16: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용후핵연료 관리 기본계획 수립도 마련

정부가 신성장 사업으로 꼽히고 있는 해외 원전 해체시장 개척에 2030년까지 6100억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5일 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전 해체산업 육성 정책 방향을 정했다.

정부는 사용기한이 도래한 원전이 588기로 원전 해체 시장 규모가 44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원전 해체 분야 기술 개발은 집중해 새로운 사업 판로를 개척하겠다는 구상이다.

우선 정부는 국내에서 최초로 영구정지(폐로) 결정이 내려진 고리 원전 1호기를 해체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키로 했다.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는 2021년까지 1500억원을 들여 핵심 기반기술 17개를, 산업부는 700억원을 들여 실용화 기술 17개를 개발하기로 했다.

여기에 미래부는 1500억원을 들여 원자력시설 해체종합연구센터를 구축하고, 산업부는 500억원을 들여 제염로봇(원자로 내·외부 방사능 오염물질 제거 로봇) 등 특수장비를 개발하기로 했다.

정부는 장기적으로는 정규교육과 기존 인력 재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원전 해체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원전 해체 시장 육성을 위해 고리 1호기 해체 과정에 다양한 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원전 해체 관련 산업집적화단지 조성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오는 2019년까지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에 땅을 얕게 파서 방벽시설을 만들고 폐기물을 넣는 '천층처분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정부는 원전 해체 산업 육성을 위해 이처럼 2030년까지 총 6100억원을 투입하고, 국무조정실에 '원자력발전산업 정책 협의체'를 구성해 주요 과제를 점검한다.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관리 기본계획도 마련한다.

현재 국내 가동원전은 총 24기로, 매년 약 750톤의 사용후핵연료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원전 내 저장시설 용량의 72.3%를 사용하고 있어 조만간 포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본계획에는 원전 내 저장시설을 확충하고, 영구처분 시설을 확보하는 방안, 그리고 사용후핵연료를 저장·운반·처분하는 과정에서 독성이나 부피를 줄이는 방안도 포함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범죄도시4’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범죄도시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직장 상사·후배와의 점심, 누가 계산 해야 할까? [그래픽뉴스]
  • 동네 빵집의 기적?…"성심당은 사랑입니다" [이슈크래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임영웅 콘서트 VIP 연석 잡은 썰 푼다” 효녀 박보영의 생생 후기
  • 꽁냥이 챌린지 열풍…“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42,000
    • +3.4%
    • 이더리움
    • 4,483,000
    • +2%
    • 비트코인 캐시
    • 701,000
    • +3.24%
    • 리플
    • 750
    • +4.9%
    • 솔라나
    • 210,300
    • +3.8%
    • 에이다
    • 717
    • +10.65%
    • 이오스
    • 1,156
    • +6.06%
    • 트론
    • 161
    • +2.55%
    • 스텔라루멘
    • 166
    • +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300
    • +3.35%
    • 체인링크
    • 20,420
    • +4.99%
    • 샌드박스
    • 662
    • +6.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