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생률을 보이고 있는 한국 키즈산업이 독특한 변화를 겪고 있다. 매년 출생아 수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키즈산업은 오히려 활황이다. 한 아이에 대한 투자심리가 강해진 데다 디지털 친화적인 부모세대가 등장하면서 카테고리도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30일 글로벌 데이터 서비스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국내 키즈산업 규모는 2012년 210억 달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남성복 브랜드 시프트지는 25일까지 서울시 성동구 연무장길 STAGE35 성수에서 팝업스토어를 열고 다양한 전시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시프트지는 2022년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론칭한 자체 브랜드다. 2030세대 남성을 겨냥해 출근복과 일상복으로 모두 활용이 가능한 '유틸리티 워크웨어'를 전문적으로 선보인다. 자체 상품은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곳곳이 프랑스 파리로 변신한다.
현대백화점은 무역센터점에서 주한프랑스상공회의소와 협력해 8월 31일까지 '파리의 순간(Le Moment de Paris)' 테마 행사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행사를 통해 무역센터점 주요 공간은 프랑스 특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주요 관광 명소를 모티브로 한 연출로 꾸며지며 현지 먹거리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도 5040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2.5%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6.8%를 기록해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률(10.4%) 대비 감소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 관계자는 “ 국내외 정세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하락하고 이상기후 등
국내 패션플랫폼 1위 무신사가 K브랜드 인기를 바탕으로 패션 소상공인 육성과 지원을 본격화한다고 30일 밝혔다.
입점 브랜드의 성장 단계별로 특성에 맞춰서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세분화해 올해 연내에 약 1000억 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무신사는 5월부터 ‘2025 파트너 펀드 프로그램’ 참여사를 모집하며, 기존 ‘동반성장 자금 지원 프로젝트’를
가수 지드래곤이 30일 패션 브랜드 '피스마이너스원'(PEACEMINUSONE)의 첫 주류 상품인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을 출시했다.
지드래곤이 2016년 론칭한 아티스트형 스트리트 브랜드인 '피스마이너스원'은 28일 공식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을 공개했다.
그간 소문이 무성했던 '피스마이너스원 하이
지상 3층, 약 791평 규모, 전 라인업 구축…차별화된 브랜드 경험 선사비수도권 첫 유티미 · 리유니클로 스튜디오 도입...로컬 브랜드와 협업유니클로 "지역 상생에 역점…대구서 사랑받는 브랜드로 뿌리내릴 것"
과거 대한민국 섬유산업의 중심지이자 '패션 1번지'로 주목받던 대구광역시 동성로가 2025년 주요 패션 브랜드들의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최
F&F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23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했다고 29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매출은 5056억 원으로 전년보다 0.3% 줄어들었다.
당기순이익은 8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감소했다.
F&F 관계자는 “해외 시장 매출 견조세에 힘입어 국내 패션 시장 전반의 소비 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1분기 실
"동성로, 대구 중심이자 전 연령대 오가는 곳…라이프웨어 가치 전달하고파"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가 대구광역시 동성로에 상륙했다. 유니클로는 전국 두 번째 규모로 문을 연 동성로 매장을 통해 젊은 층을 비롯한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라이프스타일의 가치를 전달하고 대구와 경북 등 지역민들에게 사랑받는 패션 브랜드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패션업계가 여름 시즌을 앞두고 ‘냉감 의류’를 앞세워 소비자 공략에 나서고 있다. 오락가락 했던 봄 날씨로 저조했던 의류 판매량을 반전 시켜 실적 반등을 꾀할 방침이다.
29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착용했을 때 차가운 느낌이나 시원한 촉감을 제공하는 옷을 뜻하는 냉감 의류 제품군을 속속 출시하고 있다. 냉감 의류는 단순히 얇거나 통풍이 잘되는 것만이 아니
지난달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이 9%대 성장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 매출은 19% 뛰었으나,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매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 매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9.2% 증가한 15조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온라인 매출은 19.0% 증가했지만, 오프라인 매출은 0
HDC신라면세점은 서울 용산에 있는 신라아이파크면세점의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40% 상승했다고 29일 밝혔다. 신라아이파크면세점에는 1~2월까지 3만 명, 3~4월 현재까지 7만 명, 총 10만 명의 중국 패키지 관광객이 방문했다.
정부가 올해 하반기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 허용을 검토하면서 관광·유통업계의 기대감은 더욱
아웃도어 브랜드 네파는 2세대 냉감 의류 상품군 ‘컴포(Comfor) 시리즈’를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총 24가지 스타일로 구성된 컴포 시리즈는 ‘접촉 냉감’ 기능과 강력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더해 여름철 최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컴포 테크는 접촉 ‘냉감성 나일론’ 소재를 적용해 몸에 닿는 즉시 시원한 착용감이 특징이다. 뜨거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가 내달 1일 대구 동성로에 비수도권 최대 규모의 매장을 연다.
유니클로는 정식 오픈을 이틀 앞둔 29일 대구광역시 최대 상권인 동성로에 자리 잡은 ‘유니클로 동성로점’에서 프레스 투어(Press Tour) 진행하고 그 위용을 공개했다. 지상 1층부터 3층까지 총 2616㎡(약 791평) 규모로, 비수도권 최대 매장인 이
신세계백화점은 K패션 해외 진출 지원 플랫폼인 ‘신세계 하이퍼그라운드(구 K패션82)’가 일본 도쿄 백화점 이세탄 신주쿠점과 싱가포르 다카시마야 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를 연이어 연다고 29일 밝혔다.
이세탄 신주쿠점은 일본 전역 백화점 중 매출(거래액) 규모 1위의 점포로, 일본현지 고객은 물론 외국인 관광객까지 다양한 고객이 찾는 백화점이다.
이번 팝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클래식 캐주얼 브랜드 빈폴은 배우 이준혁, 차주영을 앰배서더로 선정하고 2025년 봄·여름(SS) 시즌 화보를 공개한다고 28일 밝혔다.
빈폴은 이번 봄·여름 시즌 화보와 영상을 통해 두 배우는 빈폴의 새로운 전략상품 솔솔니트와 다양한 신상품을 착장하며 세련된 스타일을 선보였다.
롯데, 1분기 온라인 매출 전년비 2배 ‘껑충’중국 단체관광객 줄고ㆍMZ는 이커머스 친숙“외국인 겨냥 쇼핑 기능도 정교화 추세”
국내외 점포 철수와 희망퇴직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선 국내 면세점업계가 온라인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 온라인면세점에 최신 기술을 적용해 쇼핑 기능을 고도화하고 전용 프로모션도 확대, 매출 부진의 돌파구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코오롱FnC)이 전개하는 글로벌 럭셔리 골프웨어 브랜드 지포어는 일본과 중국에 매장을 내고 사업 확장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코오롱FnC는 작년 11월 지포어 미국 본사와 중국·일본 독점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올해부터 양국 주요 상권에 첫 매장을 열고 사업을 본격화한다.
지포어는 이달 25일 일본 도쿄의 대
F&F는 강남 테헤란로 신사옥으로 본사를 이전했다. F&F는 MLB,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듀베티카, 세르지오 타키니 등의 브랜드를 전개하며 글로벌 사업을 확대해왔다.
28일 F&F에 따르면 강남 신사옥은 지상 14층, 지하 5층 규모로 조성돼 사업 확장으로 그동안 분산돼 있던 사업부를 한 곳으로 모았다. 사업부 간 원활한 소통과 업무 시너지 등을
농협중앙회 경기지역본부와 한신대학교가 25일 ‘2025 경기농협 여성리더 아카데미 및 여성복지담당자 직무역량 향상과정’ 입학식을 열고,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이날 입학식은 경기도 오산시에 있는 한신대학교 경기캠퍼스 샬롬채플에서 열렸으며, 지역농협 여성이사, 여성 대의원은 물론 각계 여성 리더와 복지 담당자 등 60여 명이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