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산자원공단이 올해 자원량이 감소 중인 쥐치류의 자원회복을 위해 말쥐치 어린 물고기를 120만 마리 방류한다.
수산자원공단 제주본부는 2025년 제주시 판포리 해역에 제주도 특산물인 말쥐치 어린 물고기를 상반기에 26만 마리, 하반기에 94만 마리 총 120만 마리 대량 방류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수산자원공단은 자원량이 감소 중인 쥐치류의
해양수산부가 5월 한 달간 불법어업 전국 합동단속에 들어간다. 또 5월부턴 삼치, 감성돔, 주꾸미 금어기가 시작돼 잡으면 안 된다.
해양수산부는 봄철 산란기를 맞아 5월 한 달간을 불법어업 전국 합동단속 기간으로 정하고 해양경찰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집중 단속을 한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간 동‧서‧남해와 제주 등 4개 해역에 어업지도선 5
한국과 중국이 9일 서해에 참조기, 꽃게, 말쥐치 등 치어 100만 마리를 방류한다.
해양수산부는 이날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 왕산마리나항에서 ‘제3차 한‧중 공동 수산종자 방류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중 공동 수산종자 방류행사는 2017년 한·중 어업공동위원회에서 합의하고 같은 해 12월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순방 시 리커창 총리와의 면담에서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9년 연근해 어업생산량이 91만 톤으로 잠정 집계되었다. 1986년 173만 톤을 기록하기도 했던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생산량이 감소하게 된 배경에는 자원 남획,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갯녹음 현상 등이 있다. 푸른 바다를 지키는 해조류가 점차 사라지는 갯녹음 현상이 확산되면서 바다의 사막화가 발생하고 바다가 활기와 생동감을
올해 여의도 면적 9.5배 규모인 2768헥타르(ha)의 바다숲이 조성된다. 또 강원도 양양에는 연어 자연 산란장을 만든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56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여의도 면적의 9.5배인 2768ha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등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해수부는 기후변화와 자원남획 등으로 황폐해져 가는 바다를 되살리고 어
5월부터 전어와 주꾸미를 잡으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해양수산부는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5월에 전어와 주꾸미의 금어기(포획·채취 금지기간)를 각각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어는 5월 1일∼7월 15일, 주꾸미는 5월 11일∼8월 31일까지가 금어기다.
전어 금어기는 2006년도에 처음 설정됐으며 2번의
해양수산부가 최근 어획량이 급감해 금(金)징어로 불리는 오징어를 회복대상종으로 선정해 금어기 확대 등의 대책 마련에 나선다.
해수부는 올해부터 살오징어와 주꾸미를 회복대상종에 추가해 과학적인 자원 조사를 통해 자원회복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살오징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대표적인 오징어 종류다.
해수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6월 서해안 뱀장어 완전양식에 이어 명태 완전양식에 성공하면서 다음 사라진 어종살리기 프로젝트로 남해안의 말쥐치를 선정, 추진중 이라고 밝혔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10일 뱀장어와 명태에 이어 남해안 쥐치를 살리는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우리가 흔히 쥐포라고 부르는 쥐치(우리나라에는 말쥐치가 주로 잡힘)는 1990년대만 해도 30만톤 이상이
해양수산부는 14일 2016년 정부업무보고(경제혁신)에서 FTA를 활용한 수산물 수출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한·중 FTA 체결로 우리 수산제품의 대(對)중국 수출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김, 어묵 등 유망제품을 중심으로 맞춤형 상품개발, ‘K-Fish 브랜드관’ 개설 등 홍보 강화, 우리 물류 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중국 내륙 유통망 구
독도 해저 생태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지난 10년간 독도 바다는 동해의 수온 상승으로 아열대어종과 해조류가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해양수산부는 12일 독도해역의 지형과 어족 등 생태환경과 수중경관을 생생하게 그린 독도 바닷 속 생태지도를 최초로 완성했다고 밝혔다.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기본계획’에 따라 2008년부터독도 해역 중 수중 경관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지난 30년간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서 잡히던 전통어종이 사라지고 있다. 특히 동해안의 수온이 급격하게 상승해 명태가 사라지고 남해안에는 돔 등 아열대성 어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70∼1980년대 동해안 어획량의 30%에 이르던 명태가 수온 상승으로 자취를 감췄다. 대신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