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소용량 가성비 화장품 제품을 늘려 '생활 뷰티 플랫폼' 입지 강화에 나선다.
세븐일레븐은 28일 한국콜마 계열사 뷰티 브랜드 ‘비원츠’와 손잡고 가성비 기초화장품 4종을 단독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출시 예정 제품은 △PDRN 필오프마스크팩(4입) △글루타치온 미세자극 세럼(6입) △시카 콜라겐
다이소보다 저렴한 가격 책정LG생건·아모레 초저가 시장 공략
국내 대형 화장품 기업들이 자존심을 낮추는 유통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 고물가 속 유일한 활로인 ‘초저가 상품’을 앞세워, 주요 유통채널이 요구하는 맞춤형 상품 공급에 적극적이다.
LG생활건강(LG생건)은 21일 이마트 전용 화장품 브랜드 ‘글로우:업 바이 비욘드’(글로우업)를 출시했다.
편의점 GS25가 무신사의 메이크업 브랜드 '위찌'(WHIZZY) 색조 화장품 테스트 판매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GS25는 지난해 기초 화장품 판매를 강화한 데 이어 색조 화장품까지 영역을 확장해 비식품 분야에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위찌는 올해 2월 무신사에서 출시한 메이크업 브랜드로, 자유로움과 새로움을 추구하는 영(Yo
다이소몰 앱 사용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 작년 12월 다이소몰 앱 사용자 수는 335만 명으로 앱 출시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한 수치다. 2023년 말부터 진행된 뷰티 상품 확장과 경기 불황형 소비 트렌드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세븐일레븐, 동대문서 중소 브랜드 30여종 판매잘 나가는 올영ㆍ다이소에…편의점도 K뷰티 주목
고물가로 인해 젊은세대의 소용량 가성비 화장품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편의점업계도 관련 품목을 확대하고 있다. 소비 침체에도 CJ올리브영과 다이소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에서 유독 화장품의 인기가 높은 것도 한몫을 한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는
편의점 CU가 소용량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화장품을 선보이며 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한다.
CU는 화장품 브랜드 엔젤루카와 함께 ‘콜라겐 랩핑물광팩’, ‘순수 비타민C 세럼’, ‘글루타치온 수분크림’ 3종을 출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들 상품은 본품과 동일한 성분으로 용량을 본품 대비 3분의 1 이상 줄이는 대신 가격은 3000원으로 고정했다. 각 상
하이투자증권은 28일 미국 가성비 화장품 브랜드 엘프 뷰티(ELF Beauty)에 대해 애매한 소비 상황에서 가성비 수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주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소비 시장 회복이 단기 내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저가 화장품 수요는 지속될 전망"이라며 "엘프 뷰티는 타사 제품 대비 50~70% 저렴한 가격을 강점으로
뷰티업체들이 프리미엄 브랜드를 속속 선보이며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K뷰티 위상이 높아지며 해외에서도 통한다는 자신감과 함께 신생업체들의 거센 도전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성비 시장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브랜드를 키우겠다는 전략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가성비 화장품 시장에 비해 시장 성장성이 가파르다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 신세계인터 ‘뽀아
명품 화장품을 찾는 소비자가 눈에 띄게 늘었다. 경제가 어려워질수록 작은 명품을 구매하며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 ‘스몰 럭셔리’ 현상이 화장품 시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SSG닷컴은 지난 3년간 뷰티 관련 상품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명품 화장품 비중이 2016년 25%에서 지난해 35%까지 늘었다고 16일 밝혔다.
판매량 추이로 봐도 성장세가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