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출자전환·신규 자금지원 포기… 벼랑끝에 선 쌍용건설

입력 2013-12-27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당국 ‘군인공제회 가압류’ 중재도 무산… 상장폐지 이어 법정관리도 불가피

▲쌍용건설이 군인공제회의 공사대금 계좌 가압류라는 돌발변수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끝내겠다는 채권단의 입장에 법정관리 코앞까지 내몰렸다. 사진은 26일 오후 쌍용건설 서울 송파구 신천동 본사 전경.연합뉴스
쌍용건설에 대한 채권단의 연내 자금지원이 사실상 무산됐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은 채권은행에 27일까지 출자전환 등 추가 지원에 대한 동의서 제출을 요청했지만 제출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채권단이 추가 지원에 대해 반대 입장을 나타내면서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반년 만에 법정관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쌍용건설은 이미 자본잠식을 해소하지 못해 상장폐지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군인공제회 의견차 여전 = 쌍용건설이 군인공제회의 공사대금 계좌 가압류라는 돌발 변수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끝내겠다는 채권단의 입장에 결국 법정관리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신규 자금을 지원한 지 6개월 만에 출자전환하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오는 2017년까지 적자가 누적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기업에 추가 지원을 할 경우 배임 논란이 빚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채권단은 26~27일 양일간 올해 말까지 5000억원을 출자전환해 쌍용건설의 상장을 유지하는 ‘1안’과 자본잠식을 일부만 해소하고 상장폐지를 하는 대신 3800억원만 출자전환하는 ‘2안’을 각각 검토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채권은행은 출자전환을 사실상 포기한 상태다. 쌍용건설 출자전환 의결권 비율은 우리은행 27%, 서울보증보험 17%, 산업은행 17%, 신한은행 13%, 국민은행 9%, 하나은행 8%, 무역보험공사 3% 등이다.

현재 채권단 분위기는 더 이상 자금 지원이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5000억원을 출자전환하는 첫 번째 안은 사실상 물 건너간 상태다. 아울러 2안에 대해서도 채권단이 회의적 반응을 보이면서 합의가 이뤄질지 여부는 지극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1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쌍용건설은 완전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출자전환과 함께 30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안도 사실상 어렵게 됐다. 채권단은 군인공제회가 쌍용건설의 공사대금 계좌에 대해 가압류를 신청해 둔 상태에서 3000억원의 신규자금 지원은 정상화 방안에 설득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3000억원이 추가 지원될 경우 1800억원은 쌍용건설의 운영자금으로 돌릴 수 있지만 이 중 1200억원은 고스란히 군인공제회로 넘어가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이 중재에 나섰지만 채권단과 군인공제회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도 김진훈 군인공제회 이사장과 비공개 회동을 갖고, 가압류 해제 요청을 했으나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벼랑끝 쌍용건설, 기사회생 방안 = 이처럼 채권단과 군인공제회가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 쌍용건설은 법정관리행이 불가피해졌다. 금융당국도 뾰족한 대책이 없다며 한 발 물러선 상황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채권단이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해 쌍용건설이 상장폐지 또는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을 예상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1400곳에 달하는 협력업체가 줄도산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쌍용건설을 살리려면 군인공제회의 양보가 가장 필요하겠지만 사실상 퇴로가 막힌 상태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금융당국이 막판에 채권단 지원을 독려해 추가 지원이 결정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이 경우 2건의 출자전환 안건 가운에 2안이 3800억원의 출자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하며 그나마 쌍용건설의 기사회생을 기대해 볼 만한 카드다.

3800억원의 출자전환이 이뤄질 경우 상장폐지는 막을 수 없지만, 줄줄이 걸려 있는 해외수주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는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독려에 3000억원의 추가 신규자금 지원이 가결되면 출자전환은 최소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3000억원을 추가 지원할 경우 가압류를 건 군인공제회가 1200억원을 빼가 채권단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두 손 놓고 쌍용건설이 법정관리로 내몰리는 상황을 만들진 않을 것”이라며 “이 경우 채권단은 추가 지원금 일부가 군인공제회로 넘어가는 상황이 불만이지만 당국의 압박에 성의를 보이는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음주운전 걸리면 일단 도망쳐라?"…결국 '김호중 방지법'까지 등장 [이슈크래커]
  • 제주 북부에 호우경보…시간당 최고 50㎜ 장맛비에 도로 등 곳곳 침수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손정의 ‘AI 대규모 투자’ 시사…日, AI 패권 위해 脫네이버 가속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17,000
    • -0.23%
    • 이더리움
    • 4,959,000
    • -0.8%
    • 비트코인 캐시
    • 548,500
    • -0.09%
    • 리플
    • 695
    • +0%
    • 솔라나
    • 187,400
    • -3.2%
    • 에이다
    • 537
    • -0.92%
    • 이오스
    • 803
    • -0.25%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2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0.4%
    • 체인링크
    • 20,200
    • +0.5%
    • 샌드박스
    • 462
    • +1.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