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셧다운 사흘째…접점 못 찾고 극한대치 이어가

입력 2013-10-04 06: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여야 정치권은 건강보험개혁안(오바마케어)에 대한 공방을 거듭하며 좀처럼 타협의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존 베이너 하원의장을 상대로 잠정예산안 처리를 거듭 압박하고 있으나 공화당 강경파는 정부부채 상한증액 협상 거부 카드까지 내걸면서 극한대치를 이어가는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연방정부 기관은 물론 민간부분까지 셧다운에 따른 피해의 영향권에 들면서 '경기후퇴' 국면 재진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셧다운 사흘째인 3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州)의 한 건설회사에서 한 연설을 통해 베이너 의장을 겨냥, 즉각 잠정예산안을 처리해 셧다운을 중단시킬 것을 촉구했다.

공화당 내 중도파 의원 10여명이 잠정예산안 처리에 찬성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하원에서 예산안이 상정만 되면 즉각 통과될 것이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그는 "베이너 의장이 예산안 상정을 거부하는 것은 당내 극단주의자들의 심기를 건드리고 싶지 않기 때문"이라면서 "이런 희극을 중단하고 당장 표결을 통해 셧다운을 중단시키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오는 17일에는 국고가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면서 연방정부 부채상한을 즉각 증액하지 않으면 국가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가 현실화하면서 경제가 엄청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재무부도 이날 '부채상한 논쟁에 따른 잠재적 거시경제 효과'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국가디폴트가 현실화하면 금융시장 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소비지출, 경제성장 등에 모두 재앙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세계 경제에도 여파가 미치면서 지난 2008년의 금융위기, 경제후퇴(리세션)가 재현될 수 있고 더 나쁜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베이너 의장측은 "국가디폴트 상황을 원하지는 않지만 상한 증액만을 위한 표결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지출삭감과 개혁을 위한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고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다.

스티브 킹(공화·아이오와) 하원의원은 CNN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공화당은 문제 해결을 바라고 있지만 정작 민주당이 협상을 거부하고 있다"고 비난한 뒤 오바마케어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박았다.

공화당 지도부가 부정적인 여론에도 불구하고 예산안 및 부채상한 증액안에 대한 협상을 '거부'하고 있는 것은 티파티(보수성향 유권자단체)의 영향력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번 '예산 전쟁'에서 주도권을 뺏길 경우 내년말 중간선거는 물론 나아가 오는 2016년 대통령선거에서 보수층 결집은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티파티 진영의 대표적인 단체 가운데 하나인 '티파티 익스프레스'는 최근 지지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잠정예산안 처리에 찬성하는 공화당 의원들을 상대로 압박의 수위를 높일 것을 당부하면서 영향력을 과시했다.

셧다운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그 여파는 점차 정부 계약업체를 비롯한 민간 부문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매출에서 정부계약 비중이 큰 보잉과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스는 이날 "셧다운이 길어질 경우 작업 차질과 함께 일부 직원에 대한 무급휴가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셧다운 첫날 소폭 상승한 뒤 이튿날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던 뉴욕증시도 이날 급락세를 보이면서 이런 우려를 반영했다. 이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글로벌 자산운용사, ETF로 비트코인 100만 개 확보…마운트곡스, 부채 상환 임박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속보 文 정부 종부세법…헌재 “합헌” 결정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33,000
    • +0.02%
    • 이더리움
    • 5,206,000
    • -1.88%
    • 비트코인 캐시
    • 645,500
    • -0.46%
    • 리플
    • 722
    • -1.1%
    • 솔라나
    • 230,900
    • -2.57%
    • 에이다
    • 619
    • -2.83%
    • 이오스
    • 1,107
    • -1.77%
    • 트론
    • 155
    • +1.31%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900
    • -0.69%
    • 체인링크
    • 25,410
    • +0.28%
    • 샌드박스
    • 607
    • -3.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