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통화 지키기에 총력

입력 2012-08-16 1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앙골라 모잠비크 가나 등 자국 통화 사용 의무화

앙골라·모잠비크·가나 등 아프리카 주요국이 자국 통화 사용을 통해 경제 성장을 꾀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앙골라 당국은 내년부터 석유·가스업체들에게 달러 대신 자국 통화인 콴자 사용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모잠비크는 기업들이 수출 대금의 절반을 자국통화인 메티칼로 환전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주요 자원보유국으로 자원 수출을 통해 얻은 부를 국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무엇보다 최근 일련의 조치는 달러 강세로 자국 통화 가치가 급락하는 것을 막고 경제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실제로 가나의 통화인 세디 가치는 지난 상반기 달러 대비 17% 이상 떨어졌다.

잠비아중앙은행은 지난 5월 달러 사용을 금지했다. 또한 외국 화폐를 받거나 지불하는 등 법을 위반하면 최대 10년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잠비아중앙은행의 칸구야 마운디 대변인은 “아직까지 법을 위반한 사례는 없다”면서 “계속해서 시장을 감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잠비아의 조치는 효과를 나타냈다.

외국인이 소유한 제조업체와 광산업체들은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면서도 크와차를 사들였다.

이에 힘입어 크와차 가치는 수요가 늘면서 지난 7월 달러 대비 4640크와차를 기록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자국 통화의 사용을 촉진하면서 중앙은행은 효율적인 통화정책을 구사하고 물가안정이라는 본분에 전념할 수 있게 됐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정부의 개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존 K. 왜이크먼-린 국제통화기금(IMF) 잠비아 담당 책임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크와차화의 강세를 통한 인플레이션 조절과 정치적인 안정 효과는 짧을 것”이라면서 “정책에 반대할 필요는 없지만 크와차에 대한 신뢰가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리더 ‘정용진’의 신세계, 어떻게 바뀌었나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美 출장 성과에 “열심히 해야죠”
  • 18일 동네병원도, 대학병원도 '셧다운'?…집단 휴진에 환자들 가슴만 멍든다 [이슈크래커]
  • 15만 원 저축하면 30만 원을 돌려준다고?…‘희망두배청년통장’ [십분청년백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20,000
    • -1.28%
    • 이더리움
    • 4,917,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12,500
    • -3.92%
    • 리플
    • 677
    • -2.03%
    • 솔라나
    • 209,000
    • -4%
    • 에이다
    • 597
    • -3.08%
    • 이오스
    • 958
    • -2.74%
    • 트론
    • 166
    • +1.22%
    • 스텔라루멘
    • 139
    • -0.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250
    • -2.89%
    • 체인링크
    • 21,470
    • -4.54%
    • 샌드박스
    • 557
    • -3.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