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의 주산지가 평창?… 농작물 재배 지도가 달라진다

입력 2012-08-13 11: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반도 아열대화로 재배 한계선 북상한 탓…“아열대 신품종 도입 방안 마련 시급”

한반도의 농작물 재배 지도가 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아열대화 현상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농작물 재배한계선이 북상하면서 ‘제주 감귤’, ‘청도 복숭아’, ‘경산 포도’, ‘대구 사과’ 등 지역특산물은 이제 옛말이 됐다.

13일 통계청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제주도에서만 생산되던 아열대 작물인 감귤은 수년전부터 전남, 경남 등 내륙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지난해 제주의 감귤 재배지는 2만1363㏊로, 전체 재배면적인 2만1424㏊의 99.7%를 차지했다. 하지만 경남이 감귤 재배에 나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감귤 재배면적이 1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전남 역시 2000년대 들어 감귤을 신특화작물로 삼고 재배에 나서면서 2005년에 재배면적 75㏊를 기록했다.

청도군 등 경북지역이 주산지였던 복숭아도 충북, 경기 등지로 재배지가 북상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 영향으로 겨울철 동해(凍害) 발생이 줄어 재배면적이 증가한 탓이다. 충북의 복숭아 재배면적은 1990년 1184㏊에서 1999년 2000㏊를 넘어선 이후 올해 3743㏊까지 늘었다. 강원은 1990년 449㏊에서 꾸준히 늘어 올해는 554㏊를 기록했으며 경기 역시 1990년 815㏊에서 지난 2005년 1366㏊까지 확대됐다. 특히 남한 최북단 지역인 파주시의 재배면적이 1992~2007년 15년 새 1.2㏊에서 15㏊로 급증한 점도 주목할만 하다.

포도의 재배지도 강원으로 확산되고 있다. 포도의 주산지인 경북의 재배면적은 지난해 8306㏊로, 가장 넓었던 1998년 1만3703㏊보다 무려 39.4%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1990년대에 100㏊ 내외에 불과했던 강원은 2008년 371㏊를 기록했다. 특히 영월군은 1992년 7.2㏊에서 2007년 67.9㏊로 급증하면서 강원 제1의 포도 산지로 자리 잡았다.

온대 과일인 사과 역시 온도가 비교적 낮은 산지로 재배지가 이동 중이다. 경북은 지난해 1만9024㏊의 재배면적을 기록,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2년(3만6355㏊)에 비해 반토막이 났다. 반면 강원지역은 재배면적이 2007년 114㏊에서 올해 434㏊로 네 배 가량 늘었다. 그 중 평창군의 재배면적은 2006년 4.8㏊에서 올해 45㏊로 급증하면서 새로운 사과 주산지로 떠올랐다.

추위에 약해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되던 쌀보리는 충북, 강원지역으로까지 퍼지고 있다. 같은 남부지역에서도 전남에서 전북으로 주산지가 바뀌었다. 재배면적은 1990년 전남 5만5253㏊, 전북 7455㏊이던 데서 지난 2010년엔 전남 9373㏊, 전북 9621㏊로 역전됐다.

가을감자 역시 기후 온난화 영향으로 재배지가 확산돼 전북의 재배면적은 1990년 중반부터 전남을 추월하더니 지난해 839㏊로 전남(490㏊)의 두배에 달했다.

통계청 측은 “기후온난화에 대응한 지역별 품목 전환이 시급하다”며 “온난화에 대응해 기존 품종을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아열대의 신품종을 도입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620,000
    • -0.58%
    • 이더리움
    • 4,974,000
    • +0.93%
    • 비트코인 캐시
    • 617,000
    • -1.59%
    • 리플
    • 677
    • -1.02%
    • 솔라나
    • 209,000
    • -2.15%
    • 에이다
    • 598
    • -1.48%
    • 이오스
    • 963
    • -0.5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2,300
    • -1.16%
    • 체인링크
    • 21,680
    • -1.09%
    • 샌드박스
    • 561
    • -0.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