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그래도 오바마”…공화당 대선 먹구름

입력 2011-11-11 08: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화당 주민투표에서 패배…오바마 일자리 법안 일부 첫 통과

▲미국에서 최근 치러진 주민투표에서 민주당의 손을 들어주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오바마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전미여성법센터 연설 도중 환하게 웃고 있다. 블룸버그

미국 대선을 1년 앞두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웃고 공화당이 울었다.

미국인들이 주요 정책에 대해서 오바마와 민주당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공화당은 지난 8일(현지시간) 실시된 지방선거와 같이 치러진 4건의 주민투표에서 패배했다고 10일 현지언론이 보도했다.

미시시피주와 켄터키주의 주지사, 볼티모어와 휴스턴, 인디애나폴리스,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등 8개 대도시 시장, 버지니아주 주 의회 상원의원 등을 교체하는 이번 지방선거는 선거보다 주민투표가 더 눈길을 끌었다.

이번 주민투표에 올라온 안건들이 민주당과 공화당의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어서 민심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됐기 때문.

애리조나주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주 상원의장 주민소환 투표에서 공화당 소속의 러셀 펄스 의원이 패배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그는 지난해 미국 전체를 논란에 빠뜨린 초강경 이민자 단속법을 제안했다. 주민들이 그의 강경정책에 반기를 든 것이다.

‘일요일 주류판매 허가’여부를 놓고 주민투표를 벌인 조지아주에서도 127개 시와 카운티 가운데 110곳에서 안건이 통과돼 보수층이 패배했다.

미시시피주에서 실시한 ‘인격권 확대 법안’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법 제정이 무산됐다.

이 법안은 주 헌법에 규정된 사람의 개념을 확대해 난자와 정자가 수정된 순간부터 인격권을 부여하는 것이 핵심이다.

민주당과 낙태 찬성론자들이 승리한 셈이다.

오하이오주에서는 공공노조 단체교섭권 제한 법안이 60%가 넘는 주민들의 반대로 부결됐다.

공화당 내 극우 보수파인 티파티가 이 법안 제정을 주도했다.

전문가들은 주민투표가 공화당의 극단적 보수성향 정책이 국민들의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입증했다고 풀이했다.

한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제안한 일자리 법안의 일부 내용이 의회에서 처음으로 통과하는 정치적 승리를 거뒀다.

미국 상원은 10일 참전군인 채용 기업에 대해 채용인원 1명당 5600~9600달러(약 1000만원)의 세금공제 혜택을 주는 법안을 가결했다.

이는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9월 제안한 4470억달러 경기부양안에 포함된 내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27,000
    • +0.18%
    • 이더리움
    • 5,188,000
    • -1.31%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08%
    • 리플
    • 721
    • -1.1%
    • 솔라나
    • 230,300
    • -1.67%
    • 에이다
    • 623
    • -1.89%
    • 이오스
    • 1,107
    • -2.04%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1.44%
    • 체인링크
    • 25,450
    • +1.6%
    • 샌드박스
    • 609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