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개방·협력…MVNO활성화 박차

입력 2011-11-10 0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MVNO 파트너 협의체·MVNO 활성화 TF 등 사내·외 협력 조직 구성

SK텔레콤이 MVNO 활성화를 위한 사내?외 협력 조직을 구성하고 MVNO 사업자 부담 완화 및 시장진입 촉진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 마련에 본격 나선다.

SK텔레콤은 지난 9일 오후 23개의 예비 MVNO 사업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MVNO 파트너 협의체’를 구성하고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에서 첫 정기 간담회를 가졌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약 50여명의 예비 MVNO 관계자들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MVNO 파트너 협의체’는 MVNO 사업에 관심이 있거나 준비 중인 사업자들에게 SK텔레콤의 도매제공 준비상황을 공유하고, 사업자들의 니즈를 파악함으로써 상호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협력 방안 및 제휴 모델에 대해 정기적으로 협의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는 SK텔레콤이 새로운 MVNO 제휴 모델을 발굴하는 데 있어 사업자들의 입장 및 의견을 대폭 반영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협의체가 활성화되면 이제껏 SK텔레콤이 다수의 개별 MVNO 사업자들과 산발적으로 진행해 왔던 도매제공이나 사업 지원 관련 협의를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한 시장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예비 MVNO 사업자들은 원하는 사업 형태에 따라 선·후불, M2M, 제휴 등 4개 분과에 소속돼 SK텔레콤의 사업 담당자들과 상시로 사업 관련 논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협의체를 통한 합의 결과를 실제 시행해 나가는 데 있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마케팅, 전산, 기술 등 사내 12개 관련 부서로 구성된 ‘MVNO 활성화TF’도 조직했다.

‘MVNO 활성화TF’는 ‘MVNO 파트너 협의체’에서 논의된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구체적인 안을 개발하기 위한 실행조직의 역할을 담당한다.

SK텔레콤 이성영 제휴사업본부장은 "MVNO 파트너 협의체를 통해 MVNO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찾아낼 것"이라며 "더욱 다양한 사업자들의 MVNO 시장 진출 활성화는 물론, 협력을 기반으로 상호 Win-Win할 수 있는 여러 제휴 모델이 발굴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857,000
    • -0.15%
    • 이더리움
    • 5,242,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653,500
    • +0.15%
    • 리플
    • 732
    • +1.1%
    • 솔라나
    • 230,500
    • +0.04%
    • 에이다
    • 635
    • +0.47%
    • 이오스
    • 1,109
    • -2.38%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00
    • -0.23%
    • 체인링크
    • 24,660
    • -1.91%
    • 샌드박스
    • 631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