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美 암바렐라 32나노 제품 파운드리 양산

입력 2011-10-26 0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5나노 협력에 이어 32나노로 파운드리 파트너십 확대

삼성전자는 이미징 프로세싱 반도체 전문업체인 美 암바렐라(Ambarella)와 32나노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파트너십을 맺고 제품 양산을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1월 45나노 협력에 이어 두 번째로 삼성전자는 암바렐라의 디지털 카메라용 이미징 시스템 온 칩(SoC), A7L을 첨단 32나노 HKMG (High-K Metal Gate, 하이-케이 메탈게이트) 공정으로 수탁 생산한다.

HKMG 기술은 신물질을 사용해 공정이 미세화 될수록 증가하는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첨단 저전력 로직공정 기술이다.

이번 파운드리 협력으로 암바렐라는 삼성전자의 제조 서비스 외에도 설계, IP 제공, 테스트, 패키지 등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출하까지 모든 서비스를 포함하는 풀 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제품을 개발했다. 이로 인해 제품 개발 일정을 단축했고 공급 체인을 단순화했다.

삼성전자는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Cadence Design System), ARM 등 주요 기술 파트너와 협력을 통해 A7L칩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칩 개발 전에 제품의 IP를 검증하는 ‘고객 Shuttle 프로그램’으로 A7L 칩의 주요 IP를 32나노 공정에 미리 검증함으로써 제품 양산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암바렐라 찬 리(Chan Lee) 상무는 “삼성전자와 케이던스등 반도체 업계 리더들과의 협력으로 32나노 첨단 공정, 탁월한 IP와 설계 솔루션을 경험하는 좋은 기회가 됐고, 특히 기존 45나노 제품에 비해 오프모드에서 95%, 동작 및 대기모드에서 60% 정도의 소비전력을 절약하는 성과를 얻어 큰 만족을 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DS사업총괄의 미주총괄 파운드리 마케팅팀 아나 헌터(Ana Hunter) 상무는 “선진 공정에 적절한 투자를 한 기업이 미래 IT 제품을 주도할 것”이라며 “케이던스와 협력해 최첨단 공정으로 암바렐라의 혁신적인 차세대 카메라용 SoC를 생산하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아이서플라이(iSuppli)에 따르면, 파운드리 산업은 2010년 327억 달러에서 2015년 492억 달러로 매년 평균 8.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07,000
    • +0.11%
    • 이더리움
    • 5,186,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646,500
    • -0.08%
    • 리플
    • 720
    • -1.37%
    • 솔라나
    • 230,300
    • -1.71%
    • 에이다
    • 624
    • -1.73%
    • 이오스
    • 1,109
    • -1.86%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600
    • -1.27%
    • 체인링크
    • 25,540
    • +1.75%
    • 샌드박스
    • 609
    • -3.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