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천정배 “민주 선명야당 답지 못했다”

입력 2011-07-0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당내 비주류 연합 ‘민주희망 2012’ 새 출범

민주당 내 비주류 모임‘민주희망 2012’(이하 민주희망) 공동대표인 천정배 최고위원은 “자아비판을 해보면 민주당은 선명야당 답지 못했다”며 “밖에 사람들이 보기엔 뭐가 뭔지 모르게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4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당 개혁을 강조한 뒤 “총선과 대선에서 희망을 주려면 우리가 선명야당을 만들기 위한 전위대 역할을 해야한다”고 역할론을 주장했다.

지난 3일 출범한 ‘민주희망 2012’는 천 최고위원과 김영진, 문학진 의원이 공동 대표를 맡았으며 정동영, 박주선, 조배숙 최고위원 등 현역 의원 20명을 포함해 총 108명이 집행부에 참여한다. 이는 전신(前身)인 쇄신연대가 1년 전 당시 정세균 대표 체제에 맞서 출범 할 때보다 44명이나 세를 불린 규모다.

-2기 체제에서 달라진 점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민주당을 수권정당으로 만드는 데 방점을 찍었다. 민주당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뭔가. 선명야당 답게 이명박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 거기에 전위대로 나서겠다는 거다. 지금 민주당이 잘 해야 (다른 야당들과) 통합이나 연대도 될 수 있다. 수권정당 자격을 갖춰야 다른 야당들도 따르지 않겠나.

-민주당이 잘못 가고 있다는 지적인가.

▲자아비판을 해보면 민주당은 선명야당 답지 못했다. 예컨대 KBS 수신료 인상안 사태도 그래서 벌어진 거다. (당 지도부가) 비전은 잘 가져가고 있지만, 반값 등록금 정책만 해도 연초에 제시했던 안보다 지금 제시한 안의 수위가 낮아졌다. 당 개혁을 한다고 하긴 하는데 밖에 사람들이 보기엔 뭐가 뭔지 모르게 가고 있다.

-추구하는 정책 노선 방향은.

▲확고한 개혁과 보편적 복지 정책을 제시하고 착실하게 마련해야 한다. 진보라는 입장을 취할 때도 중산층과 서민들이 고통에 대해 이명박 정부 정책과 확실히 차별화 해 적극적으로 대안을 제시해야한다. 공천 개혁안도 통과시켜 낡은 민주당에서 당원들의 민주당으로 탈바꿈 해야 한다.

-손학규 대표를 견제하는 모임이 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그렇지 않다. 누차 말하지만 우리는 특정계보 모임도, 비주류도 아니다. 하지만 누구든지 (당 개혁에 대해) 잘못하는 일이 있다면 그걸 지적하겠다. 민주당이 바른 길로 가도록 적극 돕겠지만, 발을 헛디디려 할 때는 즉시 바로 잡을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949,000
    • -0.05%
    • 이더리움
    • 5,197,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61,000
    • -0.45%
    • 리플
    • 698
    • +0.29%
    • 솔라나
    • 226,300
    • +0.53%
    • 에이다
    • 620
    • +1.14%
    • 이오스
    • 998
    • +1.32%
    • 트론
    • 164
    • +1.23%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100
    • +1.01%
    • 체인링크
    • 22,540
    • +0.94%
    • 샌드박스
    • 586
    • +1.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