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수도 등 7대 지하시설 정보 통합관리"

입력 2011-04-12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해양부는 전국 82개 시의 상.하수도 관로 등 7대 지하시설물의 매설위치 등에 관한 데이터 통합작업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7대 지하시설물은 상수도, 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난방, 송유 등으로, 올해말까지 도로점용.굴착 인허가 시스템 등과 함께 지자체에 배포할 계획이다.

이는 지자체, 통신사업자 등 시설물 관리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지하시설물 정보를 관리하다보니 공동 활용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009년부터 2년여에 걸쳐 총 27만km에 달하는 지하시설물 정보를 통합하게 된 것으로, 이는 지구둘레 7배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번에 통합된 모든 지하시설물 정보는 활용시스템을 통해 시설물 관리부서에서 인터넷으로 손쉽게 조회할 수 있고 동시에 각종 민원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는 2012년부터 민원인은 관공서 방문없이 인터넷상으로 도로점용.굴착 인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했다. 실제로 평균 10회 기관 방문, 최대 90일 소요되던 민원처리 기간이 무방문, 평균 3일 소요로 줄어든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오는 14일, LH공사 대전연수원에서 시·군 담당공무원 250여명을 초대해 '7대 지하시설물 정보통합 중간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지난해 도로법 개정으로 지하시설물 매설공사에 대한 실측도면 제출이 의무화된 이후 처음 갖는 이번 행사를 통해 동 제도정착을 위한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4:4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75,000
    • -0.3%
    • 이더리움
    • 5,244,000
    • -1.87%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61%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3,800
    • -1.35%
    • 에이다
    • 627
    • -1.72%
    • 이오스
    • 1,126
    • -0.44%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63%
    • 체인링크
    • 25,870
    • +2.21%
    • 샌드박스
    • 616
    • -2.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