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금리인상 예상보다 빨라질 듯"

입력 2011-02-21 10:22 수정 2011-02-21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물가상승 압력 고조ㆍ단기금리 급등

신흥국의 물가상승 압력이 선진국으로까지 확산되면서 금리인상 시기가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물가상승률은 영국과 유로존에선 금융정책 목표치를 돌파했고, 디플레이션 우려가 강했던 미국에서도 1%대 중반까지 올랐다.

여기다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이 경기 회복세를 반영하면서 시장에선 미국과 유럽의 금융 당국이 예상보다 빨리 금리인상 노선으로 선회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급부상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영국은 올 여름까지, 유로존은 가을, 미국은 내년 초까지 각각 첫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작년 가을까지만 해도 “2년 내에 금리인상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였다.

실제로 시장 참가자들의 금융정책 전망을 반영하는 단기 금리가 이 같은 관측을 포함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미국의 경우 작년 11월 0.3%대에서 현재 0.8%대까지 치솟았다. 독일도 작년 5월 0.4%대에서 1.4%정도까지 뛰었다.

단기 금리가 이처럼 급등하는 데는 지난 19일 파리에서 폐막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도 주요 의제가 됐던 상품 가격 상승의 영향이 크다는 지적이다.

튀니지와 이집트의 민주화 시위에서 비롯된 물가 상승은 신흥국뿐아니라 선진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방증이다.

선진국의 물가 추이를 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영국이 전년 대비 연율 4.0%로 당국의 목표치(2%)의 2배에 달했다. 유로존도 2.4%로 2개월 연속 목표치인 ‘2% 미만’을 웃돌았다.

미국은 1.6%지만 인플레 연동 국채 수익률에서 요구되는 예상 인플레율은 2%를 넘어 디플레 우려가 강했던 작년과 판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지난달 “단기적인 인플레 압력이 있다”고 발언,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연준, Fed.) 의장도 “디플레 위험성은 두드러지게 후퇴했다”며 인플레 압력에 대한 경계심을 표명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금융당국 최고 인사의 이 같은 발언과 경제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점에 주목, 금리인상 시기가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이라는 인식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신중론도 강하다. 미국과 유럽은 모두 국가부채 부담을 안고 있는 만큼 경기 회복력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미 연준이 가장 중요한 경기판단 지표로 보는 미국 실업률은 1월에 9.0%로 전달보다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버냉키 의장은 “실업률이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오려면 수년은 걸린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미즈호코퍼레이트은행의 가라카마 다이스케 마켓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에서는 장기 국채 매입에 의한 양적 완화가 진행 중인데다 실업률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을 경우 금리인상은 생각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트리셰 ECB 총재는 최근 “중장기적으로 보면 인플레율은 더 안정돼 있다”고 발언,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계감을 나타내면서도 금리인상 관측에는 신중은 입장을 유지했다.

ECB에는 금융 불안이 고조됐던 2008년 7월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이번에는 물가상승 압력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그 커피 어디 거예요?"…Z세대도 홀린 고현정·최화정의 라이프스타일 [솔드아웃]
  • “나는 행복합니다~” 외치지만…야구팬들이 항상 화나있는 이유
  • 아브레우 "동해 심해 석유·가스 실존 요소 모두 갖춰…시추가 답"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가계 뺀 금융기관 대출, 증가폭 다시 확대…1900조 넘어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비트코인,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 하루 앞두고 '움찔'…7만 달러서 횡보 [Bit코인]
  • 대한의사협회, 9일 ‘범 의료계 투쟁’ 선포 예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891,000
    • -0.62%
    • 이더리움
    • 5,203,000
    • -1.7%
    • 비트코인 캐시
    • 668,000
    • -2.98%
    • 리플
    • 704
    • -3.03%
    • 솔라나
    • 228,700
    • -3.34%
    • 에이다
    • 629
    • -1.72%
    • 이오스
    • 1,020
    • -5.73%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1
    • -4.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1,750
    • -6.41%
    • 체인링크
    • 22,940
    • -4.42%
    • 샌드박스
    • 612
    • -6.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