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혼조세...WTI↓ㆍ브렌트↑

입력 2011-02-15 06: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랍권 반정부 시위 놓고 엇갈린 전망

국제유가는 14일(현지시간) 중국의 수요 증가 기대와 달러화 강세,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 사임 등이 교차하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가격은 전일 대비 77센트(0.9%) 하락한 배럴당 84.81달러에 거래됐다.

반면 런던 ICE 상품거래소의 4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은 전일 대비 2.37달러(2.3%) 급등한 배럴당 103.31달러에 마감했다.

브렌트유는 장 초반 104.30달러로 지난 2008년 9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내기도 했다.

브렌트유 3월물은 지난 11일 배럴당 101.43달러에 플로어 거래를 종료했다.

중국의 지난달 원유 순수입은 2150만t으로 4개월래 최고치를 보였다.

중국의 원유 수입증가는 유가 상승 요인이지만 뉴욕에서는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지난 11일 전격 사임하면서 이집트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완화된 것에 주목했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것도 WTI 하락세를 이끌었다.

유럽 재정위기 불안감이 다시 떠오르면서 유로ㆍ달러 환율은 장중 한때 1.3428달러로 지난달 20일 이후 최저치(달러 가치 최고치)를 나타냈다.

반면 런던시장은 예멘과 알제리 등으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되면서 유럽의 석유수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금값은 아랍권 민주화 시위 불확실성에 강세를 나타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4.70달러(0.4%) 상승한 온스당 1365.10달러에 마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3차 오물 풍선 살포에 모든 부대 휴일에도 비상근무
  • 은행권 자영업자 연체율 ‘경고등’…11년만에 최고
  • '그알' 태국 파타야 살인 사건, 피해자 전 여자친구…"돈 자랑하지 말랬는데"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송석주의 컷] 영화 ‘원더랜드’에 결여된 질문들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정부, 9일 의협 집단휴진 예고에 총리 주재 대응방안 발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034,000
    • +0.11%
    • 이더리움
    • 5,204,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65,500
    • -1.84%
    • 리플
    • 700
    • -0.57%
    • 솔라나
    • 223,800
    • -2.53%
    • 에이다
    • 619
    • -1.75%
    • 이오스
    • 1,000
    • -2.82%
    • 트론
    • 162
    • +1.89%
    • 스텔라루멘
    • 140
    • -1.41%
    • 비트코인에스브이
    • 80,250
    • -2.19%
    • 체인링크
    • 22,680
    • -1.35%
    • 샌드박스
    • 584
    • -5.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