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경기부양 위해 돈 계속 푼다

입력 2011-01-27 04:48 수정 2011-01-27 11: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000억달러 규모 양적완화 조치 지속,저금리 기조 유지...”경기회복세, 고용시장 개선에 불충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경기회복세 지속을 위해 현 부양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연준은 26일(현지시간) 통화정책 결정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치고 “경기회복세를 지탱하기 위해 6000억달러(약 664조원) 규모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를 지속하겠다”고 발표했다.

연준은 “올해 2분기까지 국채를 지속적으로 매입할 것”이며 “국채 매입 결과와 경제상황을 정기적으로 재검토해 물가 안정과 고용시장 회복에 가장 좋은 영향을 미치도록 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연준은 또 “기준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현 0~0.25%로 동결할 것”이라며 “낮은 비율의 자원활용과 인플레이션 추세 억제 및 안정적 인플레이션 기대 등 경제상황이 ‘상당 기간’ 이례적인 장기 저금리 추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준은 지난 2008년 12월 연방기금 금리를 제로수준으로 인하한 이후 지금까지 금리를 0~0.25% 수준으로 묶어 두고 있다.

이번 FOMC 결과는 지난해 12월 회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입장이며 전문가 예상과도 부합한다.

연준은 “경기회복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고용시장의 뚜렷한 개선을 이끌기에는 여전히 불충분하다”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미국의 일자리 추가는 10만3000개에 그쳤고 실업률은 9.8%에서 9.4%로 낮아졌지만 이는 많은 사람들이 구직활동을 포기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지난해 11월 FOMC에서 “경기회복세 지속을 위해 6000억달러 규모의 국채 매입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시행한 1조7000억달러 규모의 1차 양적완화 조치에 이어 두번째로 시행되는 연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이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가계지출은 지난해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지만 높은 실업률과 완만한 소득 증가, 낮은 주택 가치와 경직된 신용 등에 제한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준은 “장비와 소프트웨어 등 기업지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속도는 올해 초보다 둔화됐고 비거주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계속 약세를 보이고 고용주들은 고용을 계속 꺼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FOMC 성명서는 또 “물가 안정 속에 자원 가동률이 더 높은 수준으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그 속도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느리다”고 밝혔다.

연준은 “계속 경제전망과 금융발전을 주시하고 경기회복을 받치고 인플레이션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도구를 채택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연준 위원들은 이번 FOMC 성명서 채택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번 FOMC에는 '매파'로 분류되는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리처드 피셔 댈러서 연은 총재 등이 새로 합류했지만 성명서 채택에 반대 의사를 표시하지는 않았다.

지난해 연준의 경기부양책과 저금리 기조에 반대표를 행사해온 토머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는 지난달 위원회 활동이 끝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056,000
    • +2.68%
    • 이더리움
    • 5,281,000
    • +1.25%
    • 비트코인 캐시
    • 655,500
    • +0.92%
    • 리플
    • 727
    • -0.82%
    • 솔라나
    • 238,200
    • +1.28%
    • 에이다
    • 630
    • +0%
    • 이오스
    • 1,135
    • +0.8%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850
    • +1.21%
    • 체인링크
    • 25,350
    • -2.8%
    • 샌드박스
    • 623
    • -0.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