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첨단 정보전자소재 '강자'로 나선다

입력 2010-10-19 11: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기차배터리 핵심부품 LiBS 4, 5호 상업 생산라인 준공.. IT 첨단소재, 편광필름과 연성회로원판 생산라인 기공식 동시 열려

SK에너지가 전기자동차, IT기기 등에 사용되는 첨단 정보전자소재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고 있다.

SK에너지는 19일 충북 증평 산업단지에서 최태원 SK 회장, 구자영 SK에너지 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증평공장 준공식을 갖고 전기자동차, 휴대폰, 노트북PC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LiBS (Lithium-ion Battery Separator, 리튬이온전지 분리막)의 4, 5호기 상업 생산라인이 본격 양산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또 SK에너지는 IT(전자정보통신)기기의 첨단소재로 주목 받고 있는 편광필름(TAC, Tri-acetyl Cellulose)과 연성회로원판(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의 생산라인 기공식도 함께 진행했다.

SK에너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용 리튬 이온전지의 성장에 대비해 지난 2009년 초 충북 증평 산업단지 내에 22만㎡ 부지를 확보했으며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LiBS 생산라인 증설에 나서, 올해 7월 4, 5호라인의 기계적 준공을 완료하고 시험생산을 진행해 왔다.

SK에너지는 이번 4, 5호 생산라인 완공으로 연간 총 1억600만㎡의 생산 규모를 확보하는 한편, 현재 건설중인 6, 7호 생산라인이 완공되는 2012년에는 1억 7,800만 ㎡의 대규모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다.

LiBS의 글로벌 톱3의 위치를 더욱 확고히 함은 물론, 리튬이온전지의 핵심소재인 LiBS와 완제품인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까지 이어지는 안정적인 수직계열화도 달성할 것이란 게 회사측 설명이다.

아울러 SK에너지는 동 부지 내에 2011년말 완공을 목표로 전자 정보통신제품의 첨단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편광필름(TAC)과 연성회로원판(FCCL)의 생산라인 기공식을 함께 가졌다.

편광필름은 LCD TV, LCD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LCD 편광판의 핵심 필름 소재이며, 연성회로원판(FCCL)은 휴대폰, LCD TV 등에 쓰이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의 핵심 소재다.

SK에너지는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일본 등의 수입 의존도를 대폭 낮추고 첨단소재의 국산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최태원 회장은 “LiBS는 SK가 국내 최초로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한 SK의 대표 기술”이라며“TAC, FCCL 등 정보전자소재사업으로까지 SK의 기술영토를 넓히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이번 증평공장 준공을 통해 글로벌 유수의 기업과 경쟁하는데 유리한 위치 선점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앞으로 정보전자소재 분야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 지는 만큼 보다 연구개발에 매진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SK에너지는 지난 2004년 말 국내 최초이자 세계 3번째로 LiBS 기술 개발에 성공했으며 2005년 말 상업화에 나서 현재 충북 청주에 1~3호 생산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늘부터 즉각 켠다…북한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싫어하는 이유 [해시태그]
  • 서울대병원 17일·의협 18일 휴진…“돈 밝히는 이기적 집단 치부 말라”
  • 전세사기에 홀로 맞서는 세입자…전세권 등기·청년 셀프 낙찰 '여전'
  • MBTI가 다르면 노는 방식도 다를까?…E와 I가 주말을 보내는 법 [Z탐사대]
  •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국회 예산 협조부터 '난항' 전망
  • 카리나 시구 확정…롯데 자이언츠 경기도 관람
  • 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쾌거에…젠슨 황 세계 10위 부자 ‘눈앞’
  • 오늘의 상승종목

  • 06.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713,000
    • -0.11%
    • 이더리움
    • 5,196,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660,500
    • -2.37%
    • 리플
    • 697
    • -0.99%
    • 솔라나
    • 224,700
    • -1.96%
    • 에이다
    • 620
    • -0.48%
    • 이오스
    • 996
    • -2.16%
    • 트론
    • 162
    • +1.25%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9,500
    • -2.69%
    • 체인링크
    • 22,630
    • -1.05%
    • 샌드박스
    • 586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