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vs LG, R&D 경영 '맞대결'

입력 2009-12-21 15:44 수정 2009-12-21 16: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 '마스터' · LG '연구위원' 제도 통해 기술 경쟁력 확보 총력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마스터'와 '연구위원'이란 연구 개발 및 기술전문가를 영입, 맞대결을 펼치며 R&D 경영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개발과 전략사업의 핵심기술 확보를 가속화 시키고 소비자가 필요로하는 것을 찾아내기 위한 행보다.

특히 마스터와 연구위원으로 선발되면 연구개발에 주력할 수 있도록 임원 수준의 보상이 이뤄지는 등 전폭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삼성전자는 제2기 '마스터'로 연구개발 및 기술 분야의 전문가 7명을 선임했다고 21일 밝혔다.

'마스터'는 해당 분야의 최고 연구개발·기술 전문가로 '마스터'로 선임되면 조직관리에 대한 부담없이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활동만을 전담할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 제2기 '마스터'에는 ▲양산 계측 분야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 계측분야 25년 경력의 최고 전문가 이상길 마스터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제품 반도체 회로 설계 및 차세대 알고리즘(Algorithm) 분야 최고전문가 김태찬 마스터 ▲미세 공정 제품개발에 필수적인 정전기 방전(ESD; Electro Static Discharge) 솔루션 분야 최고전문가 김한구 마스터 등이 포함됐다.

'마스터'제도에 따라 연구개발·기술 분야의 수석연구원들은 임원으로 성장하는 '관리자 트랙'과 '마스터'로 성장하는 '전문가 트랙' 중 본인의 적성과 희망에 따라 하나의 트랙을 선택하게 되며,'전문가 트랙'을 선택한 연구원들 중 탁월한 기술력을 보유한 연구원들이 기술심사를 통해 '마스터'로 선발된다.

이날 선발된 '마스터'들에게는 임금, 차량, 출장지원, 사무환경 등 제반 처우 측면에서 임원급에 준하는 특전이 제공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10월 연구개발 및 기술전문가들이 연구개발·기술 본연의 업무에 집중해 원천기술 개발 및 전략사업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마스터'제도를 도입하고 제1기 마스터 7명을 선임한 바 있다.

삼성전자 인사팀 관계자는“연구개발 전문가들이 조직관리 등에 대한 부담 없이 연구개발 본연의 업무에 집중토록 해 회사의 연구개발력을 한층 높이기 위해 마스터 제도를 도입하게 됐다”며“이번 마스터 제도 도입이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필요로 하는 원천기술 개발과 전략사업의 핵심기술 확보를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LG전자는 '연구위원(Research Fellow)` 제도를 새로 도입했다.

자사 연구인력을 세계수준의 연구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해 도입한 이 제도에 따라 LG전자는 연구개발(R&D), 특허, 디자인 분야 부장급 연구인력 가운데 성과, 전문역량, 기술의 전략적 중요도를 감안해 매년 연구위원을 선발하며, 최근 R&D 17명, 디자인 4명, 특허 1명 등 총 22명의 연구위원을 선발했다.

선발과정은 R&D분야 최고경영자의 1, 2차 면접과 평가위원회 심사 등 3단계로 이뤄진다. 연구위원은 연구개발에 주력하는 동시에 신기술 개발, 경영진 기술자문, 사내 강의를 통한 연구원 역량 개발 등의 역할도 맡는다.

연구위원에게는 임원 수준의 보상이 이뤄지며, 복리후생이 크게 강화된다. 또 3년 단위로 업적 평가가 이뤄져 장기적 관점의 연구개발이 탄력을 받게 된다.

당시 남용 부회장은 신임 연구위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이 끌 수 있는 개방적인 연구문화를 조성해 고객 인사이트 발굴에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연구위원' 제도를 탄생시킨 남용 부회장이 내년 인사에서 유임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연구위원' 제도가 정착됨은 물론 R&D 경영도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매년 연구위원을 선발키로 한 만큼 내년 상반기내로 현재 22명보다 더 많은 인원이 연구개발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한편, LG전자는 연구위원의 미래 성장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수석연구위원(Senior Research Fellow)을 두고 있으며, 최근 과학기술훈장을 받은 디지털TV 연구소 곽국연 수석연구위원이 지난해 말 처음 선임됐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곽 수석연구위원은 계속 자리를 유지한다.

해외 주요 업체들이 이미 오래 전부터 이같은 전문인력 제도를 도입, 수준 높은 기술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이처럼 R&D 전문인력 확보에 속도를 내면서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춰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음주운전 걸리면 일단 도망쳐라?"…결국 '김호중 방지법'까지 등장 [이슈크래커]
  • 제주 북부에 호우경보…시간당 최고 50㎜ 장맛비에 도로 등 곳곳 침수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 [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美 SEC, 현물 ETF 출시 앞두고 이더리움 증권성 조사 중단 外 [글로벌 코인마켓]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700,000
    • +0.84%
    • 이더리움
    • 5,079,000
    • +2.03%
    • 비트코인 캐시
    • 560,000
    • +0.45%
    • 리플
    • 700
    • +0.86%
    • 솔라나
    • 192,800
    • -2.23%
    • 에이다
    • 554
    • -0.18%
    • 이오스
    • 830
    • +3.36%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3
    • +1.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00
    • +1.2%
    • 체인링크
    • 20,640
    • +2.48%
    • 샌드박스
    • 473
    • +3.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