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청문회 지켜보겠다' 해…지명 철회할 뜻 없어 보여"
金 청문회 보이콧 가능성 시사…"할 수 있는 것 다 해야"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2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야당에게 돌려주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에 대해 재검토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이 대통령이 두 사안 모두 즉답을 피했다고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이 대통령과의 여야 지도부 오찬을 마치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이 대통령과 약 1시간 45분 동안 오찬 회동을 했다. 야당과 정부·여당의 협치를 위해 첫 발짝을 내디뎠다는 점을 의미 있게 평가한다"며 "저는 민생을 위한 정치 복원을 대통령께 간곡히 요청했다"고 말했다.
송 원내대표는 "첫 과제로 법사위원장을 야당에 할애하는 헌법 권리의 복원을 말씀드렸지만 아쉽게도 긍정적인 답을 받지는 못했다"며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행정부와 입법부를 장악한 민주당이 법사위원장을 독점할 경우 무소불위의 입법 독재가 크므로 법사위를 제자리로 되돌려 놓는 국회 정상화에 앞장서주기를 부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이 대통령은 즉답을 피하고 '여야 합의가 필요하다'는 말씀만 했다"고 밝혔다.
관련 뉴스
그는 "두 번째로 김 후보자 지명의 여러 문제점 지적과 함께 재검토를 요청했다"며 "아빠 찬스, 채무를 가장한 스폰서 찬스, 칭화대 학위 의혹 등 이미 결격 사유는 충분하다. 칭화대 논문에서 도급자·반도자라는 표현을 쓰며 자유를 찾아 대한민국 품에 안긴 북한 이탈 주민을 배신자라고 규정한 김 후보자의 정체성 논란도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인사청문회까지 갈 것도 없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인사인 만큼 대통령과 새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며 "이 대통령은 '청문회를 지켜보겠다'는 말로 즉답을 하진 않았다. 아마도 지명 철회할 뜻이 없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것 아닌가 하다"고 말했다.
송 원내대표는 "정부의 2차 추경안과 관련해서도 만성 채무자 빚 탕감 조치는 성실하게 빚을 상환한 분들에 대한 역차별이자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리고 정부 조직 개편 관련 문제점 등에 대해서도 일부 대화를 나눴다"며 "새롭게 출발한 정부에서 모처럼 열린 여야 회동인 만큼 이 대통령이 나라와 국민이 잘되기 위해 성공한 대통령이 되길 바란다는 입장도 전했다"고 밝혔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송 원내대표는 '오늘 이 대통령이 야당이 요구한 것 중 받아들인 게 없다고 봐도 되나'라는 질문에 "제가 핵심적으로 얘기한 법사위원장 부분, 김 후보자의 문제점 부분에 대해 이 대통령의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의사는 표현되지 않았다"라며 "간접적으로, 우회적으로 수용하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송 원내대표는 또 요구 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경우 대처에 대해선 "우리가 절대적으로 소수당이기 때문에 핸들링할 수 있는 부분이 굉장히 제한적"이라며 "소수 야당으로서 국민과 함께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 보이콧 가능성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장과 여야 간사 간 합의를 할 때 청문회 날짜는 이틀로 하되 증인 채택·자료 제출을 충분히 협조한다고 했는데 그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지 않나"라며 "우리 측 인청특위 위원들과 상의해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