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초거대 AI 공공서비스 개발 본격화…5개 과제 선정

입력 2025-06-2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올해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의 수행기업 공모를 한다고 20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공공분야에 초거대 인공지능을 도입·확산하고 이를 통해 행정 효율화, 대국민 서비스 혁신, 사회현안 해결이 가능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는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을 대상으로 1~2월에 과제 공모를 추진했으며, 총 5개 과제가 선정됐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생성형 AI 기반 국민소통·민원분석 체계 구축’은 국민소통시스템에 생성형 AI 기반 민원분석 체계를 도입했다. 민원처리 행정 효율화와 답변 품질을 높여, 대량의 민원업무를 신속·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했다.

국세청의 ‘생성형 AI 기반 국세 상담 지원 서비스’는 납세자가 홈택스 이용 시 전자신고 관련한 문의사항을 즉시 해소할 수 있는 실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서비스를 통해 홈택스에 상담 전용 AI 챗봇을 도입하여 전화 상담 시 발생하는 장시간 대기 문제를 해결하고, 어려운 세무 용어 등으로 인한 불편사항을 개선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해외인증 공공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는 모바일 플랫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모바일 기반 해외인증 특화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중소기업이 겪는 수출 관련 애로사항인 해외 인증과 관련된 정보와 질의응답을 AI 기반으로 제공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에이전틱 AI 기반 전 국민 맞춤형 민원 상담 서비스’는 국민 생활과 편익에 직결되는 건강보험 민원 상담업무에 AI를 도입시켰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지방재정 지능화 서비스’는 e호조+, 지방재정365 등 지방재정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접목했다.

이번 사업은 19일 국민권익위원회와 국세청 과제의 민간 전문기업 조달 공고를 시작으로, 5개 과제별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은 차례로 입찰 공고될 예정이다. 사업 추진 방향, 구체적 추진 내용, 수행사 선정 절차 등 민간 전문기업 조달 공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조달청 나라장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선정된 과제에 대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행정 현장의 변화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창출‧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으로 “개발된 서비스는 공공분야에서 행정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민간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31,000
    • -0.14%
    • 이더리움
    • 3,986,000
    • -1.48%
    • 비트코인 캐시
    • 697,000
    • -1.55%
    • 리플
    • 3,773
    • +4.34%
    • 솔라나
    • 216,800
    • -2.78%
    • 에이다
    • 965
    • -3.4%
    • 트론
    • 408
    • +1.75%
    • 스텔라루멘
    • 539
    • +2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20
    • -2.24%
    • 체인링크
    • 20,390
    • -3.18%
    • 샌드박스
    • 388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