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링시티 조성·어르신 돌봄 강화…서울시, 폭염종합 대책 가동

입력 2025-06-17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등 수도권에 폭염경보가 가운데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서울 등 수도권에 폭염경보가 가운데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올해 강력한 더위가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에 나선다.

서울시는 9월 30일까지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쿨링시티 조성 △폭염특보 발령 시 체계적 위기대응 △폭염 취약계층 맞춤형 보호 △폭염대피시설 접근성 개선 및 운영 강화 △문화활동 기반 시민 생활 보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폭염종합 대책'을 가동한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서울시는 쿨링시티 조성을 위해 물 청소차 운영을 강화한다. 주요 간선도로와 일반도로 총 1973km 구간에 하루 1~2회 물 청소차 187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도로사업소 차량 12대를 추가 투입하고 구간도 181.4km 확대한다.

건물 옥상에서 태양열을 반사해 온도를 낮추는 '쿨루프'도 경로당과 주민센터 등 77곳에 신규 설치한다. 보행 중 만나는 그늘막은 현재 4140개가 마련돼 있는데 추가로 422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물안개를 분사해 주변 온도를 낮추는 '쿨링포그'는 기존 147개에서 21개를 더 늘린다.

'쿨링로드'도 13곳 운영한다. 도로 중앙에 사각의 블록이나 표지병 모양으로 설치된 시설에서 물을 분사해 도로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또 북한산, 관악산 등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도심으로 유도하는 '바람 숲길'을 조성하고 도심 녹지 공간도 지속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폭염 위기단계별 대응체계도 빈틈없이 가동한다. '관심' 단계인 평시에는 상황관리 TF팀이 위험 징후를 감시하고 '주의·경계·심각' 등 폭염특보 발효 시에는 서울시와 자치구에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해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온열 질환자 응급실 감시체계를 확대하는 한편 온열 질환자 대상 긴급구조·구급 출동도 강화할 계획이다.

어르신·쪽방 주민·중증 장애인·야외근로자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도 확대한다.

어르신 돌봄 인원은 작년보다 1600여 명 많은 3만9343명으로 늘리고 폭염특보 발령 시 생활지원사가 1~2일마다 전화·방문으로 안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쪽방 주민을 위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10개 조 20명이 1일 2회 순찰하고 노약자나 기저 질환자를 대상으로 주 2회 쪽방 간호사가 방문한다. 거동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활동지원사·야간 돌보미가 24시간 건강관리를 지원한다.

생계유지가 어려운 가구에는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금을 4인 기준 183만 원에서 187만 원으로 인상해 지원하기로 했다. 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지급하는 에너지바우처는 올해부터 동·하절기 구분 없이 통합 사용할 수 있게 개선했다.

공공·민간 건설현장, 공공일자리 근로자 등 옥외작업자는 체감온도 기준 폭염단계별 휴식시간 보장, 작업시간 조정·중단 등 보호조치가 적용된다.

폭염대피시설인 무더위쉼터는 대책 기간 중 5회 이상 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해 시설관리의 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쪽방 주민을 위한 동행 목욕탕 등을 활용한 '밤 더위 대피소'는 기존 4곳에서 6곳으로 늘린다. '이동노동자 쉼터'는 총 6곳이 운영된다. 폭염쉼터와 연계한 문화프로그램도 새롭게 운영할 예정이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폭염이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일상 재난이 된 만큼 빈틈없이 준비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안전하고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8,288,000
    • +1.19%
    • 이더리움
    • 3,990,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716,500
    • +2.36%
    • 리플
    • 3,750
    • +9.23%
    • 솔라나
    • 219,800
    • -0.9%
    • 에이다
    • 975
    • +6.21%
    • 트론
    • 407
    • +2.26%
    • 스텔라루멘
    • 517
    • +26.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30
    • -0.42%
    • 체인링크
    • 20,670
    • +0.29%
    • 샌드박스
    • 386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