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청년실업] 일자리 갈증에 애타는 중국 청년들…침묵 속의 위기

입력 2025-06-16 0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6-15 18:01)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4월 청년실업률 15.8%, 전국 실업률 3배 웃돌아
대졸자 증가·노동시장 불일치 등 주요인
정부, SNS 실업 문제 게시글 단속 급급
대출 탕감 등 실질적 지원책 절실

▲사진은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달 21일 시민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퇴근하고 있다. 베이징/AFP연합뉴스
▲사진은 중국 베이징에서 지난달 21일 시민들이 오토바이를 타고 퇴근하고 있다. 베이징/AFP연합뉴스
청년 실업은 전 세계 국가들이 안고 있는 과제지만, 중국에서 특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중국 정부가 통계 방식까지 바꾸면서 청년실업률을 낮추는 데 공을 들였음에도 청년 실업은 이미 부동산에 이은 또 다른 사회적 불안 요소로 자리 잡았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중국 청년실업률(16~24세, 학생 제외)은 15.8%를 기록했다. 두 달 연속 하락했지만, 여전히 전국 도시 실업률(5.1%)의 세 배를 웃돌 만큼 높다.

실업률이 높은 것은 대학 졸업자의 증가와 노동시장에서의 불일치가 주된 이유로 꼽힌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전반적으로 볼 때 전국 도시 실업률은 안정적이고 감소 추세를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우린 고용의 구조적 모순이 여전히 두드러진다는 사실도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젊은이들이 엄청난 취업 압박에 직면해 있지만, 일부 산업에선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일선 기술 인력 공급이 부족하다”며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는 여전히 두드러진 문제로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열악한 노동환경도 실업률 상승 원인으로 지목된다. 비영리단체 중국노동감시의 리창 사무총장은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많은 중국 기업은 직원들에게 하루 12~16시간 근무를 요구하고 직원들이 주 6~7일 일하기를 기대한다”며 “대부분 청년은 근무 조건이 열악한 일자리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아 청년실업률이 오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국 허페이에 있는 중국과학기술대학 졸업식에서 졸업생 가족이 학사모를 씌우고 있다. 허페이/신화뉴시스
▲중국 허페이에 있는 중국과학기술대학 졸업식에서 졸업생 가족이 학사모를 씌우고 있다. 허페이/신화뉴시스
그 밖에도 중국 경제의 중추인 부동산 시장의 붕괴와 정부의 IT 규제로 인한 고부가가치 일자리 감소, 번번이 단기에 그치는 정부 경기부양책 등이 근본적 해결을 막는 한계로 평가된다.

15%를 웃도는 실업률이 실제로는 더 높을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국은 지난해 청년실업률 집계 방식을 변경했다. 월별 수치가 계속 20%를 웃돌자 당국은 학생을 집계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바뀐 방식이 구직 활동을 포기한 구직자를 반영하지 않는 데다 농촌 지역 실업 상황을 담고 있지 않아 허점으로 지적된다.

문제가 심각해 보이지만, 철저한 통제 사회인 중국에서 청년 실업에 대한 불만이 공개적으로 표출되기란 쉽지 않다. 당국은 인터넷이나 소셜미디어에 해당 주제가 다뤄지는 것을 주시하고 있다. 지난해 말 가오산원 SDIC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가 실업률과 낙담한 청년층에 관해 쓴 논평이 온라인에서 삭제된 것이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현 상황이 계속된다면 청년 실업은 결국 중국 사회와 경제 전반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경쟁을 포기하고 최소한의 생활만을 추구하는 청년을 의미하는 ‘탕핑족(드러누워 아무것도 안 하는 사람들)’과 청년들의 소모성 과잉 경쟁을 뜻하는 ‘네이쥐안’이라는 용어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고 지난해 10~19세 청소년 1억5600만 명 가운데 900만 명 이상이 우울증이나 불안증을 겪고 있다는 연구 조사가 발표되는 등 곳곳에서 위험 신호가 감지된 지도 오래다.

미국 외교 전문매체 디플로맷은 “중국 정부 전략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취업 박람회, 농촌 취업 유도 캠페인 등 과거의 고용 촉진 정책은 엇갈린 결과만 낳았다”며 “대출 탕감과 주택 지원금, 공무원 임용 신속 통과와 같은 실질적인 인센티브만이 취업에 회의적이던 사람들조차 유혹할 패키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994,000
    • +0.39%
    • 이더리움
    • 3,695,000
    • +3.7%
    • 비트코인 캐시
    • 688,000
    • +0.73%
    • 리플
    • 3,248
    • +3.08%
    • 솔라나
    • 210,400
    • +1.54%
    • 에이다
    • 833
    • +3.87%
    • 트론
    • 394
    • +0.77%
    • 스텔라루멘
    • 394
    • +12.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10
    • +1.31%
    • 체인링크
    • 19,140
    • +1.92%
    • 샌드박스
    • 357
    • +5%
* 24시간 변동률 기준